정보처리기사 필기・실기 합격률 통계 최신 업데이트
정보처리기사 합격률
최근 10년간의 정보처리기사 시험 결과 통계를 기반으로, 각 회차별 정보처리기사 필기 및 실기 시험의 합격률 및 평락, 과락, 합격 기준에 대해 자세히 안내해 드립니다.
과거에는 상대적으로 취득이 쉬운 자격증으로 여겨졌던 정보처리기사 시험이, 2020년부터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으로 개편면서, 합격률은 평균 20~30%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정보처리기사 필기시험 합격률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시험은 1차 필기와 2차 실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필기시험은 총 5과목으로, 각 과목마다 20문항이 객관식 4지 선다형으로 출제됩니다.
필기시험 합격을 위해서는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각 과목당 40점 이상을 획득하고, 전체 5과목의 평균이 60점 이상이어야 합니다.
정보처리기사 | 필기시험 |
시험과목 | ① 소프트웨어설계 ② 소프트웨어개발 ③ 데이터베이스구축 ④ 프로그래밍언어활용 ⑤ 정보시스템구축관리 |
출제방식 | ・객관식 4지 선다형 |
시험시간 | ・2시간 30분(과목당 30분) |
문제수 | ・100문항(과목당 20문항) |
응시수수료 | ・19,400원 |
【 정보처리기사 필기시험 합격률 】
다음은 2014년부터 2023년까지의 회차별 정보처리기사 필기시험 합격률 통계 자료입니다. 최근 10년 기준, 정보처리기사 필기시험 평균 합격률은 53.6%로, 이는 응시자 10명 중 5~6명 정도만이 필기시험에 합격했음을 의미합니다.
시험연도 | 회차 | 응시자 | 합격자 | 합격률 |
2023년 | 1회 | 23,587명 | 15,250명 | 64.7% |
2회 | 18,952명 | 10,935명 | 57.7% | |
3회 | 17,485명 | 9,473명 | 54.2% | |
합계 | 60,024명 | 35,658명 | 59.4% | |
2022년 | 1회 | 19,445명 | 12,405명 | 63.8% |
2회 | 14,626명 | 7,460명 | 51.0% | |
3회 | 14,399명 | 7,343명 | 51.0% | |
합계 | 48,470명 | 27,208명 | 56.1% | |
2021년 | 1회 | 18,843명 | 15,385명 | 81.6% |
2회 | 14,422명 | 5,270명 | 36.5% | |
3회 | 18,375명 | 12,210명 | 66.4% | |
합계 | 51,640명 | 32,865명 | 63.6% | |
2020년 | 2회 | 20,155명 | 10,475명 | 52.0% |
3회 | 15,139명 | 10,143명 | 67.0% | |
4회 | 7,985명 | 4,202명 | 52.6% | |
합계 | 43,279명 | 24,820명 | 57.3% | |
2019년 | 1회 | 18,053명 | 12,159명 | 67.4% |
2회 | 15,821명 | 7,595명 | 48.0% | |
3회 | 18,971명 | 10,986명 | 57.9% | |
합계 | 52,845명 | 30,740명 | 58.2% | |
2018년 | 1회 | 16,227명 | 8,930명 | 55.0% |
2회 | 13,175명 | 5,993명 | 45.5% | |
3회 | 15,263명 | 8,053명 | 52.8% | |
합계 | 44,665명 | 22,976명 | 51.4% | |
2017년 | 1회 | 17,201명 | 7,149명 | 41.6% |
2회 | 14,070명 | 7,504명 | 53.3% | |
3회 | 15,541명 | 5,284명 | 34.0% | |
합계 | 46,812명 | 19,937명 | 42.6% | |
2016년 | 1회 | 19,634명 | 8,197명 | 41.7% |
2회 | 18,431명 | 8,642명 | 46.9% | |
3회 | 16,260명 | 9,201명 | 56.6% | |
합계 | 54,325명 | 26,040명 | 47.9% | |
2015년 | 1회 | 18,331명 | 10,117명 | 55.2% |
2회 | 16,909명 | 8,519명 | 50.4% | |
3회 | 16,375명 | 7,875명 | 48.1% | |
합계 | 51,615명 | 26,511명 | 51.4% | |
2014년 | 1회 | 18,393명 | 10,002명 | 54.4% |
2회 | 15,811명 | 5,393명 | 34.1% | |
3회 | 17,242명 | 8,737명 | 50.7% | |
합계 | 51,446명 | 24,132명 | 46.9% |
정보처리기사 실기시험 합격률
1차 필기시험에 합격해야 2차 실기시험에 응시할 수 있습니다. 2차 실기시험은 정보처리 실무에 대한 필답형으로 출제되며, 최근 출제 경향은 대부분 단답형 또는 보기 중에서 고르는 문제 형식입니다.
정보처리기사 실기 시험은 C언어, 자바(Java), 파이썬(Python) 등 코딩 문제가 6~8문제(최대 40점), SQL 관련 문제가 2문제(10점) 이상 출제되므로, 코드 공부를 소홀히 하면 사실상 합격이 불가능합니다.
정보처리기사 실기 시험은 2시간 30분 동안 진행되며, 약 20문항 정도의 문제가 출제됩니다. 합격을 위해서는 100점 만점 기준, 60점 이상을 득점해야 합니다.
단답형 문제 중 상당수는 필기 기출문제를 약간 변형한 것이 많습니다. 따라서 필기 기출문제를 공부할 때에는 출제 내용뿐만 아니라 교재에 있는 주변 내용들도 함께 확인하면 도움이 됩니다.
정보처리기사 | 실기시험 |
시험과목 | ・정보처리 실무 |
출제방식 | ・필답형 ・대부분 주관식 단답형 |
시험시간 | ・2시간 30분 |
문제 개수 | ・약 20문항 |
응시수수료 | ・22,600원 |
【 정보처리기사 실기시험 합격률 】
2014년부터 2023년까지, 최근 10년 동안의 회차별 정보처리기사 실기시험 평균 합격률은 36.7%이며, 2020년부터 2023년까지의 합격률은 22.8%입니다.
2020년부터 2023년까지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정보처리기사 필기시험 응시자 중에서 실제로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을 취득한 비율은 13.5%입니다. 이는 필기시험 응시자 10명 중 1~2명만이 자격증을 취득함을 의미합니다.
시험연도 | 회차 | 응시자 | 합격자 | 합격률 |
2023년 | 1회 | 19,277명 | 5,284명 | 27.4% |
2회 | 19,904명 | 3,566명 | 17.9% | |
3회 | 18,866명 | 3,333명 | 17.7% | |
합계 | 53,307명 | 11,112명 | 20.8% | |
2022년 | 1회 | 19,039명 | 4,880명 | 25.6% |
2회 | 17,639명 | 2,841명 | 16.1% | |
3회 | 16,629명 | 3,390명 | 20.4% | |
합계 | 53,307명 | 11,111명 | 20.8% | |
2021년 | 1회 | 20,125명 | 7,947명 | 39.5% |
2회 | 15,281명 | 4,235명 | 27.7% | |
3회 | 17,539명 | 4,141명 | 23.6% | |
합계 | 52,945명 | 16,323명 | 30.8% | |
2020년 | 1회 | 4,323명 | 231명 | 5.3% |
2회 | 12,587명 | 2,642명 | 21.0% | |
3회 | 14,101명 | 2,573명 | 18.2% | |
4회 | 4,149명 | 578명 | 13.9% | |
5회 | 6,297명 | 1,317명 | 20.9% | |
합계 | 41,457명 | 7,341명 | 17.7% | |
2019년 | 1회 | 14,652명 | 6,296명 | 43.0% |
2회 | 13,122명 | 6,225명 | 47.4% | |
3회 | 15,989명 | 9,974명 | 62.4% | |
합계 | 43,763명 | 22,495명 | 51.4% | |
2018년 | 1회 | 12,023명 | 6,468명 | 53.8% |
2회 | 9,899명 | 6,458명 | 65.2% | |
3회 | 11,179명 | 3,801명 | 34.0% | |
합계 | 33,101명 | 16,727명 | 50.5% | |
2017년 | 1회 | 8,327명 | 4,750명 | 57.0% |
2회 | 8,977명 | 1,564명 | 17.4% | |
3회 | 9,898명 | 1,138명 | 11.5% | |
합계 | 27,202명 | 7,452명 | 27.4% | |
2016년 | 1회 | 12,802명 | 8,370명 | 65.4% |
2회 | 13,459명 | 9,547명 | 70.9% | |
3회 | 9,435명 | 5,454명 | 57.8% | |
합계 | 35,696명 | 23,371명 | 65.5% | |
2015년 | 1회 | 14,327명 | 9,278명 | 64.8% |
2회 | 12,743명 | 7,249명 | 56.9% | |
3회 | 12,098명 | 5,497명 | 45.4% | |
합계 | 39,168명 | 22,024명 | 56.2% | |
2014년 | 1회 | 9,665명 | 3,593명 | 37.2% |
2회 | 10,090명 | 5,759명 | 57.1% | |
3회 | 11,420명 | 3,564명 | 31.2% | |
합계 | 31,175명 | 12,916명 | 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