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

사회복지사 1급 합격률 | 응시자 및 합격자수 안내

톡톡생활정보 2024. 1. 23. 14:36
728x170
사회복지사 1급 합격률

 

사회복지사 1급 시험에 관한 응시자 수 및 합격자 수, 그리고 성별 및 연령대별 합격률에 대한 통계 분석 자료를 안내드립니다.

 

제공된 정보는 큐넷에서 제공하는 사회복지사 1급 국가자격시험 통계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 향후 시험에 대한 추가 공지사항이 있을 경우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

 

사회복지사-1급-합격률-통계-안내

 

사회복지사 1급 | 합격・과락 기준

 

사회복지사 1급 시험은 매년 1회 시행되며, 최근 5년(2019년~2023년) 기준 합격률은 41.4%입니다.

 

시험은 3개 과목(8영역), 총 200문제가 객관식으로 출제되며, 120개 이상을 맞춰야 합격입니다. 단, 한 과목이라도 해당 교시의 문항 수 중 40%를 맞추지 못하면 과락으로 간주되어 불합격 처리됩니다.

 

따라서 1교시에는 50문제 중 20문제 이상, 2교시와 3교시에는 각각 75문제 중 30문제 이상을 맞춰야 과락 없이 합격이 가능합니다.

 

 

【합격 결정 기준】
・ 매 과목 40% 이상, 전 과목 총점의 60% 이상을 득점해야 합격예정자로 결정
・ 시험과목수/문제수 : 3과목(8영역)/200문제
・ 배점/총점 : 1문제 당 1점/200점
・ 문제형식 : 객관식 5지 선다형
구분 시험과목 문제수
(시험시간)
과락 기준
문항 수
1교시 【사회복지기초】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사회복지조사론
50문항
(50분)
20문항
2교시 【사회복지실천】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지역사회복지론
75문항
(75분)
30문항
3교시 【사회복지정책과 제도】
・사회복지정책론
・사회복지행정론
・사회복지법제론
75문항
(75분)
30문항

 

 

사회복지사 1급 합격률 | 회차별 합격률 비교

 

다음은 2003년(제1회)부터 2023년(제21회)까지, 사회복지사 1급 시험의 응시자 수 및 합격자 수, 그리고 합격률에 관한 통계 자료입니다. 전체 회차 합격률은 37.2%입니다.

 

시행회차 시행일 응시자 합격자 합격률
합계 - 412,008명 153,100명 37.2%
제21회 2023.01.14 24,119명 9,673명 40.1%
제20회 2022.01.22 24,248명 8,753명 36.1%
제19회 2021.02.06 28,391명 17,158명 60.4%
제18회 2020.02.08 25,462명 8,388명 32.9%
제17회 2019.01.19 22,646명 7,734명 34.2%
제16회 2018.01.20 21,975명 7,352명 33.5%
제15회 2017.01.21 19,514명 5,250명 26.9%
제14회 2016.01.23 20,946명 9,846명 47.0%
제13회 2015.01.24 21,393명 6,764명 31.6%
제12회 2014.01.25 22,604명 6,363명 28.2%
제11회 2013.01.26 20,544명 5,809명 28.3%
제10회 2012.02.05 23,627명 10,254명 43.4%
제9회 2011.01.23 21,868명 3,119명 14.3%
제8회 2010.01.24 23,050명 9,700명 42.1%
제7회 2009.02.08 22,753명 7,081명 31.1%
제6회 2008.02.03 19,493명 9,033명 46.3%
제5회 2007.03.04 16,166명 4,006명 24.8%
제4회 2006.03.12 12,151명 5,056명 41.6%
제3회 2005.03.06 8,635명 3,731명 43.2%
제2회 2004.03.07 7,233명 4,543명 62.8%
제1회 2003.04.27 5,190명 3,487명 67.2%

 

 

사회복지사 1급 합격률 | 남자・여자 성별 비교

 

다음은 2008년부터 2023년까지, 사회복지사 1급 시험에 응시한 남자와 여자 응시자 수 및 합격자 수, 그리고 합격률에 관한 통계 자료입니다.

 

사회복지사 시험은 여자가 남자보다 응시 비율도 높고, 합격률도 높은 편입니다.

 

연도 성별 응시자 합격자 합격률
2023년 여성 17,709명 7,402명 41.8%
남성 6,410명 2,271명 35.4%
합계 24,119명 9,673명 40.1%
2022년 여성 17,653명 6,620명 37.5%
남성 6,595명 2,133명 32.3%
합계 24,248명 8,753명 36.1%
2021년 여성 20,600명 12,651명 61.4%
남성 7,791명 4,507명 57.9%
합계 28,391명 17,158명 60.4%
2020년 여성 18,239명 6,196명 34.0%
남성 7,223명 2,192명 30.4%
합계 25,462명 8,388명 32.9%
2019년 여성 16,029명 5,615명 35.0%
남성 6,617명 2,119명 32.0%
합계 22,646명 7,734명 34.2%
2018년 여성 15,457명 5,391명 34.9%
남성 6,518명 1,961명 30.1%
합계 21,975명 7,352명 33.5%
2017년 여성 13,626명 3,837명 28.2%
남성 5,888명 1,413명 24.0%
합계 19,514명 5,250명 26.9%
2016년 여성 14,772명 7,315명 49.5%
남성 6,174명 2,531명 41.0%
합계 20,946명 9,846명 47.0%
2015년 여성 15,020명 5,065명 33.7%
남성 6,373명 1,699명 26.7%
합계 21,393명 6,764명 31.6%
2014년 여성 15,779명 4,761명 30.2%
남성 6,825명 1,602명 23.5%
합계 22,604명 6,363명 28.2%
2013년 여성 14,420명 4,340명 30.1%
남성 6,124명 1,469명 24.0%
합계 20,544명 5,809명 28.3%
2012년 여성 16,843명 7,810명 46.4%
남성 6,784명 2,444명 36.0%
합계 23,627명 10,254명 43.4%
2011년 여성 15,751명 2,543명 16.2%
남성 6,117명 576명 9.4%
합계 21,868명 3,119명 14.3%
2010년 여성 16,896명 7,572명 44.8%
남성 6,154명 2,128명 34.6%
합계 23,050명 9,700명 42.1%
2009년 여성 16,823명 5,624명 33.4%
남성 5,930명 1,457명 24.6%
합계 22,753명 7,081명 31.1%
2008년 여성 14,586명 7,042명 48.3%
남성 4,907명 1,991명 40.6%
합계 19,493명 9,033명 46.3%

 

 

사회복지사 1급 합격률 | 연령대별 비교

 

다음은 2008년부터 2023년까지, 사회복지사 1급 시험에 응시한 연령대별 응시자 수 및 합격자 수, 그리고 합격률에 관한 통계 자료입니다.

 

대부분의 회차에서 20대의 응시자수가 가장 높고, 합격률도 높은 편이며, 20대에서 80대로 갈수록 응시자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입니다.

 

연도 연령 응시자 합격자 합격률
2023년 20대 10,113명 4,984명 49.3%
30대 4,060명 1,243명 30.6%
40대 5,159명 1,851명 35.9%
50대 3,938명 1,377명 35.0%
60대 805명 211명 26.2%
70대 41명 6명 14.6%
80대 3명 1명 33.3%
합계 24,119명 9,673명 40.1%
2022년 20대 10,475명 4,810명 45.9%
30대 4,161명 1,071명 25.7%
40대 5,189명 1,573명 30.3%
50대 3,642명 1,102명 30.3%
60대 747명 191명 25.6%
70대 33명 6명 18.2%
80대 1명 0명 0.0%
합계 24,248명 8,753명 36.1%
2021년 20대 12,088명 8,073명 66.8%
30대 5,033명 2,617명 52.0%
40대 6,092명 3,522명 57.8%
50대 4,280명 2,441명 57.0%
60대 864명 492명 56.9%
70대 34명 13명 38.2%
합계 28,391명 17,158명 60.4%
2020년 20대 11,011명 4,645명 42.2%
30대 4,500명 1,056명 23.5%
40대 5,511명 1,520명 27.6%
50대 3,765명 1,022명 27.1%
60대 648명 139명 21.5%
70대 26명 6명 23.1%
80대 1명 0명 0.0%
합계 25,462명 8,388명 32.9%
2019년 20대 10,648명 4,802명 45.1%
30대 4,158명 1,034명 24.9%
40대 4,575명 1,168명 25.5%
50대 2,821명 647명 22.9%
60대 425명 81명 19.1%
70대 17명 2명 11.8%
80대 2명 0명 0.0%
합계 22,646명 7,734명 34.2%
2018년 20대 10,826명 4,598명 42.5%
30대 4,118명 971명 23.6%
40대 4,285명 1,134명 26.5%
50대 2,367명 574명 24.3%
60대 367명 74명 20.2%
70대 12명 1명 8.3%
합계 21,975명 7,352명 33.5%
2017년 20대 10,034명 3,533명 35.2%
30대 3,571명 571명 16.0%
40대 3,613명 778명 21.5%
50대 1,977명 315명 15.9%
60대 301명 50명 16.6%
70대 18명 3명 16.7%
합계 19,514명 5,250명 26.9%
2016년 20대 10,917명 6,038명 55.3%
30대 3,823명 1,308명 34.2%
40대 3,927명 1,633명 41.6%
50대 2,017명 784명 38.9%
60대 255명 83명 32.6%
70대 7명 0명 0.0%
합계 20,946명 9,846명 47.0%

 

 

연도 연령 응시자 합격자 합격률
2015년 10대 1명 0명 0.0%
20대 11,300명 4,514명 40.0%
30대 3,845명 802명 20.9%
40대 3,993명 1,003명 25.1%
50대 2,005명 411명 20.5%
60대 244명 34명 13.9%
70대 5명 0명 0.0%
합계 21,393명 6,764명 31.6%
2014년 20대 11,695명 4,139명 35.4%
30대 4,361명 827명 19.0%
40대 4,258명 964명 22.6%
50대 2,065명 393명 19.0%
60대 218명 39명 17.9%
70대 6명 1명 16.7%
80대 1명 0명 0.0%
합계 22,604명 6,363명 28.2%
2013년 20대 10,811명 3,827명 35.4%
30대 4,091명 819명 20.0%
40대 3,751명 837명 22.3%
50대 1,720명 305명 17.7%
60대 165명 21명 12.7%
70대 6명 0명 0.0%
합계 20,544명 5,809명 28.3%
2012년 20대 12,812명 6,409명 50.0%
30대 4,709명 1,652명 35.1%
40대 4,049명 1,533명 37.9%
50대 1,851명 604명 32.6%
60대 204명 55명 27.0%
70대 2명 1명 50.0%
합계 23,627명 10,254명 43.4%
2011년 20대 11,487명 2,370명 20.6%
30대 4,501명 375명 8.3%
40대 3,978명 291명 7.3%
50대 1,738명 81명 4.7%
60대 162명 2명 1.2%
70대 2명 0명 0.0%
합계 21,868명 3,119명 14.3%
2010년 20대 12,200명 5,868명 48.1%
30대 4,887명 1,703명 34.9%
40대 4,192명 1,586명 37.8%
50대 1,629명 509명 31.3%
60대 139명 34명 24.5%
70대 3명 0명 0.0%
합계 23,050명 9,700명 42.1%
2009년 20대 12,593명 4,649명 36.9%
30대 4,801명 1,197명 24.9%
40대 3,905명 928명 23.8%
50대 1,339명 286명 21.4%
60대 113명 21명 18.6%
70대 2명 0명 0.0%
합계 22,753명 7,081명 31.1%
2008년 20대 11,734명 5,961명 50.8%
30대 3,767명 1,521명 40.4%
40대 2,975명 1,215명 40.8%
50대 932명 315명 33.8%
60대 85명 21명 24.7%
70대 0명 0명 -
합계 19,493명 9,033명 46.3%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