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보육교사 호봉표
보통 국공립·법인 어린이집 보육교사가 민간 또는 가정 어린이집 보육교사보다 월급이 많으며, 민간·가정 어린이집 보육교사는 기본급여 외 추가 수당을 받지 못하는 등의 불이익을 받는 경우도 적지 않습니다.
민간 어린이집의 경우 국공립 어린이집보다 감시 사각지대인 경우가 많기 때문인데, 기본급여를 최저임금으로 받으면서 야근 등 추가 근무도 무급으로 하는 셈이며, 경력이 많다고 올라가는 구조도 아닌 경우가 많습니다.
2021년 보육교사 호봉에 따른 월급 수준
민간·가정 어린이집 보육교사로 일하는 것보다 국공립 어린이집 보육교사를 선호하는 이유는 기본급여 차이도 클 뿐 아니라 추가 수당도 꼬박꼬박 잘 지켜지기 때문입니다.
국공립 어린이집 보육교사는 보건복지부가 매년 고시하는 '보육교직원 인건비 지급 기준'에 따라 호봉별로 기본급을 주지만, 민간 또는 가정 어린이집 보육교사는 이 기준을 지키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 예로 10호봉에 해당하는 보육교사가 국공립·법인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면 복지부 기준 월 235만 원을 받을 수 있지만, 민간·가정 어린이집에서 근무할 경우 77% 수준의 급여인 180만 원 정도밖에 받지 못한다는 소식도 전해지고 있습니다.
2021년도 보육교직원 인건비 지급기준 1호봉 보육교사의 월 지급액은 1,940,800원이며, 보수총액은 23,289,600원입니다.(보육교사 10호봉 : 월 지급액 2,343,800원 / 보수총액 28,125,600원)

보건복지부가 매년 고시하는 보육교직원 인건비 지급 기준은 국공립 어린이집, 정부 인건비 지원 어린이집, 직장어린이집에 적용함을 원칙으로 하며, 민간어린이집은 특별히 규정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원장과 보육교직원과의 협의(근로계약서 체결)를 통해 보수기준을 달리 정할 수 있습니다.
보육교직원의 근무시간은 평일 8시간을 원칙으로 합니다. 다만, 어린이집 운영시간을 고려하여 연장 근무를 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시간 외 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시간 외 수당은 실제 근무시간을 고려하여 별도 지급하여야 합니다.

민간·가정 어린이집 보육교사는 경력 반영이 안 될뿐더러 경력이 쌓일수록 국공립 보육교사 등과의 임금격차가 더 벌어지는 경우가 많아 국공립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것을 더 선호합니다.
서울시 국공립어린이집 보육교사 채용방식 자격기준을 갖추고 채용공고일 현재 5년 이내 행정처분 사실이 없는 자로서, '서울시보육서비스지원센터'의 교육과정 이수‧통과한 자(채용 후 이수 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