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스 고객센터
토스카드를 분실했다구요? 송금을 잘못했거나 취소하고 싶나요? 토스는 전화 뿐만 아니라 카카오톡, 페이스북 메신저, 이메일, 앱 리뷰 등 여러 채널을 통해 불편사항을 접수, 처리하고 있습니다.
토스 고객센터는 문제가 있을때만 전화한다고 오해하는데, 개선 요구사항이 있을때도 연락해 의견을 제시할 수 있으며 검토후 의견이 반영되기도 한다. 고객센터를 통해 많이 접수되는 질문은 홈페이지를 통해 내용을 공유하고 있는데, 로그인이나 회원가입 없이도 누구나 확인이 가능하다.
토스 고객센터 전화번호 운영시간
토스에는 고객센터, CS(Customer Satisfaction)팀이 없습니다. 대신 토스팀에는 고객과 소통하고, 고객의 소리를 듣고 공유하며, 다시 고객에게 행복한 피드백을 드리는 고객행복팀(Customer Happiness)이 존재합니다.
토스 고객센터, 고객행복팀은 전화, 카카오톡, 페이스북 메신저, 이메일, 앱 리뷰 등 여러 채널을 통해 고객의 생생한 목소리를 듣고 있는데, 전화번호는 1599-4905번이다. 토스 고객센터는 24시간 연중무휴로 운영되며, 카카오톡은 @toss로 검색하면 손쉽게 Search가 가능하다.
토스 고객센터, 고객행복팀은 토스의 고객이 단 100명이었을때부터 24시간 동안 운영되었다. 1,600만 다운로드가 넘은 지금도 20여 명의 팀원이 하루 24시간 동안 고객의 의견, 목소리를 접수 후 처리하고 있다.
늦은 밤이나 이름 아침 등 갖가지 이유로 다양한 시간에 금융 거래를 해야 하는데, 오류가 생기거나 궁금증이 생기면 곧바로 토스 고객센터, 고객행복팀에 연락해 해결할 수 있다. 실제로 자정 이후로도 토스의 사용법이나 송금 내역, 토스에서 제공하고 있는 투자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와 기능에 대해 문의하는 경우가 많다.
토스카드를 분실했을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 분실신고 후 재발급을 받을 수 있다. 재발급시에는 1,000원의 발급 수수료가 발생하며, 해지 후 30일 이내 발급 신청 시에도 1,000원이 부과됩니다.
재발급 카드를 사용등록하면, 기존 카드는 자동 해지 처리되며, 재발급 카드를 사용등록 하지 않았다면 최대 2달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분실신고는 토스 고객센터 또는 토스앱>>홈(조회)>>토스카드>>설정>>분실 신고하기를 통해 접수가 가능하며 동일 위치에서 재발급 신청과 해지도 할 수 있다.
토스 이용 Q&A
토스 송금 및 결제한도
일반 회원은 일 50만 원 한도 내에서 송금이 가능한데, 토스 본인 인증을 마친 회원은 일 500만 원까지 한도를 늘릴 수 있다. 단, 미성년자는 일 최대 30만 원까지 송금이 가능하다.
토스의 결제 한도는 일반 회원과 미성년자 회원이 다른 기준을 적용 받는다. 일반 회원은 일 200만 원, 미성년자 회원은 일 30만 원, 월 최대 100만 원까지 이용할 수 있다. 단, 일부 가맹점의 경우, 더 낮은 한도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가맹점 홈페이지에서 확인 후 이용하는 것이 좋다.
미성년자의 출금 한도는 송금액과 결제액이 합산되어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이번 달에 30만 원 송금하고 토스 가맹점에서 50만 원 결제했다면, 다음 달이 되기 전엔 20만 원이 넘는 송금이나 결제를 할 수 없다. 미성년자는 생일이 지난 다음 달 1일부터 일반회원 한도로 변경된다.
휴대폰 번호나 기기를 바꾸면 예전 내역 확인 가능?
동일 명의자의 휴대폰 번호 변경이나 기기 변경이라면 기존 거래내역과 등록 계좌 정보는 그대로 유지된다. 하지만 기기 변경 없이 휴대폰 번호만 바뀌었을 경우, 신규 전화번호에 대한 인증은 토스 앱의 ARS 인증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이경우 조금 번거롭더라도 토스 앱 하단의 [전체>>내 프로필 보기>>설정>>휴대폰 번호 변경]을 통해 변경 후 이용하는 것이 좋다. 또는 휴대폰에서 토스 앱을 삭제 후 재설치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토스 탈퇴가 아닌 휴대폰에서의 앱 삭제로 토스를 탈퇴할 경우 예전 내역은 확인이 불가능할 수 있다.
토스 고객센터에 신분증 제출 방법
본인 확인을 위한 신분증 제출은 비대면으로 진행할 수 있다. ① 메모지에 직접 '토스 인증'이라는 단어, 문의하는 날짜, 본인 연락처를 적은 후 ② 메모지를 본인 신분증 앞면에 붙인 다음 ③ 본인 얼굴과 함께 작업이 끝난 신분증을 들고 사진을 촬영한다.
이후, ④ 해당 사진을 토스 고객행복팀 이메일이나 카카오톡으로 발송하면 끝!! 토스 고객센터 카카오톡은 @toss 키워드 검색을 통해 손쉽게 Search가 가능하다. 토스 고객센터 이메일 주소는 [support@toss.im] 이다.
신분증은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청소년증, (미성년자의 경우) 본인 사진이 들어간 플라스틱 형태 학생증만 인정된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주민등록번호 뒷자리 혹은 여권번호는 별도의 메모지로 가려야 한다. 신분증에 부착된 메모의 내용이 잘 읽히지 않는 경우, 인증이 불가하므로 메모지의 글씨는 잘 보이도록 적어야 한다.
현재 토스에서는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본인확인기관 지정을 받은 7개 카드사(BC, 신한, 삼성, KB국민, 현대, 롯데, 하나카드)의 카드 본인인증을 지원하고 있다. 이 외 카드사, 법인카드, 가족카드, 선불카드를 통한 본인 확인은 불가능 하므로 이점은 주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