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태권도 띠 순서/태권도 띠 매는법, 정보 톡톡!!

728x170

태권도 띠 순서

 

태권도는 다른 무술과 달리 발차기를 중심으로 상대방을 효과적으로 제압할 수 있는 무술로, 올림픽 종목으로 채택돼 한국 뿐 아니라 세계 각국에서도 인기를 모으고 있는 스포츠 중 하나다.

 

태권도-띠-매는법-안내

 

수련단계는 18위계로 구분돼 있는데, 품과 급은 엄격한 승단규정이 적용되며 최고 등급에 속하는 10단은 주로 공로가 지대한 9단자 사망 시 심사 없이 특별한 심의나 추천에 의해 추서된다. 태권도 도복은 무예정신의 순수성을 상징하는 흰색으로 상의는 하늘을 상징하고 하의는 땅을 , 띠는 사람을 의미한다.

 

 

태권도 띠 순서

 

태권도는 수련단계를 9단계로 나누어 승급을 진행하고 있는데, 이는 숫자 9를 완성수로 여겨 최상의 경지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모든 변화는 9단계 과정을 거쳐 마지막 10단계에 이르러 완성 된다고 여기는 태권도는 이러한 이치를 수용해 수련체계를 9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에서 배우고 익혀야할 내용을 구성하고 있다.

 

태권도-띠-종류-안내

 

초급부터 1급까지는 태극 1장부터 8장 품새를 익히게 되고 1단은 고려, 2단은 금강, 3단은 태백, 4단은 평원 기술을 배우는데, 태권도 4단 이상부터 사범자격증 시험을 볼 수 있다.

 

품과 단은 만 15세를 기준으로 구분되는데, 4품은 만 18세가 기준이다. 품은 1품에서 4품, 단은 1단에서 9단으로 구성돼 있다. 4품까지 취득하면 품단전환을 통해 5단을 보거나 1~4품 사이에 단으로 바꿔줘야 한다.

 


 

5단이하는 저단자 심사로, 6단 이상은 고단자 심사에 속해 평가를 받는다. 6단~9단에 해당하는 고단자 승단심사는 국기원에서 직접 주관해 실시하고 있다.

 

태권도 띠는 도복 위에 매는 복장의 일부분으로 띠 색깔에 따라 수련의 목표와 기술의 정도를 동시에 나타내는데, 원래 무급은 흰띠, 국기원의 1단 심사 대상이 될 수 있는 품띠는 빨간띠, 1단 이상은 검은띠 였지만, 3가지로 띠를 운영하다 보니 승급에 따른 흥미유발이 어렵다고 판단해 추가적으로 띠를 추가했다.

 

태권도-띠-여러-종류

 

태권도장에서는 보통 흰띠, 노란띠, 파란띠, 빨간띠, 검은띠 등 오방색 띠 순서로 등급을 매기고 있는데, 오방색 띠 외에도 초록띠와 보라띠, 주황띠 등을 추가적으로 사용하는 곳도 있으며, 흰띠와 노란띠 사이에 줄무늬띠, 초록띠와 파란띠 사이에 초파띠를 만들어 지급하는 곳도 있다.

 

같은 동네 도장이라도 검은띠를 따기 전 띠 갯수가 최대 8~16개 이상 차이날 수 있는데, 이는 통일된 규정이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같은띠라 할지라도 도장이 틀리다면 개인별 실력은 서로 차이가 클 수 있다.

 

 

태권도 때 매는법

 

태권도는 도복을 조심스럽게 다루고 간수하는 예를 중요 시 하는 무도로, 입문 시부터 도복 다루는 법을 비롯해 띠 매는 법 등을 엄격히 배우게 된다.

 

띠는 단전부위를 중심으로 단단히 허리둘레를 감고 단전부위 앞에서 삼각매듭으로 묶게 되는데, 이는 단전에 모은 기를 적소적재에 기술과 함께 운용하자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 허리에 두르기

 

태권도 띠를 맬때는 허리에 두른 뒤 양끝 길이를 똑같이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왼쪽 방향의 끈이 위로, 오른쪽 방향의 끈은 아래로 향하게 한다.

 

태권도-띠-매는법-이미지

 

■ 매듭 짓기

 

동일한 길이로 띠를 허리에 둘렀다면 위에 있는 끈(왼쪽 방향의 끈)을 허리춤에 둘러맨 끈 밑으로 넣은 후 잡아 당겨준다.

 

두번째 매듭은 아래 있는 끈(오른쪽 방향의 끈)을 동그랗게 구부려 위에 있는 끈(왼쪽방향의 끈)을 밑으로 넣어주면 된다. 마지막으로 매듭된 띠를 강하게 잡아 당기면 띠 매기가 모두 완료된다.

 

태권도-띠-매는법-묶는-사진
태권도-띠-매는법-확대-이미지
태권도-띠-매는법-완료-이미지

 

매듭을 만들 때는 왼쪽과 오른쪽 방향의 양 끝 끈 길이를 동일하게 맞춰주는 것이 중요하다. 길이가 맞지 않는다면 순서가 잘못되었거나 띠를 허리에 두를 때 길이를 맞추지 않고 매듭을 만든 경우이다.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