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행수표 입금
수표는 최소 금액이 10만원 이상으로, 분실 시 피해가 크기 때문에 받는 즉시 사용하거나 바로 사용하지 않을거라면 은행에 입금해 두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수표입금은 발행은행에서만 할 수 있다고 알고 계신가요? 아닙니다. 타행수표도 발행은행이 아닌 다른 은행에서 간단한 확인절차만 거친다면 입금 및 현금화 교환이 가능합니다.
타행수표 입금 하는법
타행수표를 은행에 입금 하는법은 크게 ATM기기를 이용하는 방법과 은행창구를 통해 입금하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두가지 방법 모두 어렵지 않습니다.
발행은행이 아닌 타은행 창구를 통해 타행수표를 입금하는 경우라면 반드시 신분증을 지참해야 합니다. 주민등록증이나 운전면허증, 여권 등 본인을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을 지참하지 않았을 경우 입금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신분증은 국가기관에서 발행한 신분증이라면 어느것이든 상관 없습니다. 신분확인이 되면 수표에 이름과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을 기입한 후 은행직원에게 수표를 건네주면 됩니다. 실물통장을 만들어 계좌를 개설했다면 통장도 함께 가지고 가는 것이 좋습니다.
발행은행이 아닌 다른 은행에서 타행수표를 입금할 때 ATM기기를 이용할 경우라면 반드시 통장이나 카드를 반드시 지참해야 합니다.
ATM기기 리드기를 통해 통장이나 카드가 정상적으로 인식됐다면, 입금 버튼을 선택한 후 타행수표를 넣고 입금하면 됩니다. 보통 ATM 기기를 통해 수표 입금이 가능한 금액은 100만원권으로 제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100만원 이상의 고액 타행수표는 일반적으로 은행창구를 통해서만 입금이 가능합니다. 다만, 200만원을 입금할 경우 100만원씩 두번에 나눠서 입금할 수는 있습니다.
타행수표 현금화 가능 시간
발행은행을 통해 수표를 입금한 경우라면 바로 현금화 해 출금이 가능합니다. 단, 발행은행이 아닌 타은행에서 타행수표를 입금한다면, 바로 현금화 하는 것이 불가능 할 수 있습니다.
ATM기기를 통해 입금하든, 은행창구를 통해 입금하든 즉시 현금화 할 수 있는지 여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수표의 경우 은행간 공조 시스템을 통해 진위여부를 판단하는데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으로, 발행은행에서는 수표 진위여부를 바로 확인할 수 있어 현금화가 바로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신한은행에서 발행한 수표를 우리은행 계좌에 입금할 경우, 고객은 당일 그 돈을 찾을 수 없습니다. 다만, 금액이 크지 않고 수표에 액수가 표기된 정액 수표는 수수료를 내면, 창구에서 바로 현금화가 가능합니다.
금액이 크고 액수가 정해져 있지 않은 비정액 수표는 바로 현금화가 일반적으로 불가능 합니다. 타행 수표는 은행 영업시간 중 입금 시 보통 다음 영업일에 출금이 가능하며, 영업시간 종료 후 입금 되었다면 이틀 후 출금할 수 있습니다.
수표는 일반적으로 유효기간이 발행일로부터 10일 이내로, 발행일로부터 10일이내에 사용할 것을 권장하지만 기간이 지났다고 해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발행인 또는 은행 신용에 문제가 생기면 해당 수표는 지급이 거절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수표는 사용기간이 따로 정해져 있지 않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약을 받을 수 있어 단기간 사용하지 않을 거라면 현금으로 교환하던지 또는 은행에 입금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금융정보조회 전자금융공동망에서 제공하는 ARS를 통해 자기앞수표 진위여부 조회가 가능합니다. 전화번호는 1369번으로, 안내멘트에 따라 수표번호를 입력하면 진위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금융정보조회 전자금융공동망 외에도 은행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수표의 진위여부 확인이 가능합니다. 은행 홈페이지 조회업무 카테고리에서 수표와 어음을 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는데, 수표 오른쪽 상단의 8자리와 수표 번호, 발행점 번호를 알아야 조회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