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가 계속해 오르고 있는 요즘 같은 시대에는 대출을 받는 것도 이자 부담 때문에 망설이게 되는 게 사실입니다. 하지만 집값이 워낙 많이 올라 대출을 받지 않고 집 구하기도 힘든 게 현실이라 어쩔 수 없이 돈을 빌릴 수밖에 없는데, 나이가 비교적 젊은 청년들은 기금 대출을 이용하면 보다 낮은 이자로 돈을 빌릴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기금 대출이란, 쉽게 말해 정부에서 돈을 빌려주는 상품을 말합니다. 기금 대출의 가장 큰 장점은 금리가 은행에 비해 매우 저렴해 낮은 이자로 돈을 빌릴 수 있다는 점입니다. 오늘은 사회초년생 및 청년들이 이용하면 좋을 기금 대출 상품 2가지와 월세를 무상으로 지원해 주는 제도 1가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 보겠습니다.
청년 기금 대출 | ① 청년전용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기금 대출 첫 번째 상품은 청년전용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입니다. 전세 대출하면 사실 버팀목이라고 할 만큼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은 원래 유명했습니다. 그런데 청년전용 상품이 나오면서 혜택을 조금 더 부여했습니다. 대부분의 정부 부처와 지자체에서 말하는 청년은 보통 만 19세 이상~만 34세 이하의 분들을 말합니다. 이 상품도 마찬가지입니다.
▣ 대출 대상
부부합산 연소득이 5000만 원 이하, 순자산가액은 3억 2천500만 원 이하인 무주택 세대주가 대상입니다. 소득은 세전기준으로 산정됩니다. 단, 신혼가구,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 종사자, 그리고 타 지역으로 이전하는 재개발 구역 내의 세입자, 다자녀 가구인 경우에는 소득을 6천만 원 이하까지 인정해 줍니다.
▣ 대출 금리
청년전용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의 금리는 소득에 따라 연 1.5%~연 2.1% 사이에서 정해집니다. 부부합산 연소득이 2000만 원 이하라면 연 1.5%, 2000만 원 초과~4천만 원 이하라면 1.8%, 4천만 원 초과~6천만 원 이하라면 2.1%의 금리가 적용됩니다.(최고 연 1.0%까지 우대금리 적용)

▣ 대출 한도/기간
대출한도는 임차보증금의 80%지만, 최대 7000만 원까지로 제한됩니다. 예를 들어 전셋집이 1억이라면 원래는 임차보증금의 80%라고 했기 때문에 8천만 원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한도가 최대 7000만 원이기 때문에 조건 충족 시 8천만 원이 아닌 7천만 원까지만 대출이 가능합니다.
대출기간은 최초 2년이며, 4회까지 연장이 가능합니다. 즉 최대 10년까지 이용할 수 있습니다.
청년 기금 대출 | ② 중소기업 취업 청년 전월세 보증금 대출
▣ 대출 금리
중소기업 취업 청년 전월세 보증금 대출의 가장 큰 매력 포인트는 금리입니다. 연 1.2% 대출금리로 돈을 빌릴 수 있는데, 시중 어느 은행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금리일 뿐 아니라 청년전용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보다도 더 낮습니다.
▣ 대출 한도/기간
최대 1억 원까지 대출이 가능하며, 최초 2년, 최대 4회까지 연장이 가능해서 총 10년까지 돈을 빌릴 수 있습니다.
▣ 대출 대상
부부합산 연소득 5000만 원 이하, 순자산가액 3억 2천500만 원 이하인 무주택 세대주가 대상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건 중소기업 취업 청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상품이다 보니, 중소·중견기업 재직자 또는 중소기업 진흥공단, 신용보증기금 및 기술보증기금의 청년 창업 지원을 받고 있는 분들만 이용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나이는 만 19세 이상~만 34세 이하 청년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소득은 세전기준으로 산정됩니다. 주택도시 기금 대출은 기금 수탁은행(우리은행, KB국민은행, 신한은행, IBK기업은행, NH농협은행)에 업무를 위탁하여 심사하고 있습니다. 개별 심사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기금 수탁은행을 통해 상담 및 문의가 가능합니다.
청년 월세 지원사업
세 번째 추천 상품인 청년 월세 지원사업은 대출이 아닙니다. 청년들에게 월세의 일부를 지원해주는 사업입니다. 물론 월세도 대출을 받을 수 있는 상품이 있지만, 청년 월세 지원사업은 돈을 빌리는 게 아니라 돈을 그냥 주는 거기 때문에 조건만 충족한다면 당연히 받는 게 이득입니다.

이 사업의 지원대상은 부모와 별도로 거주하는 만 19세에서 만 32세 이하의 무주택 청년입니다. 이외 세부조건은 지자체마다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본인 거주 지자체 홈페이지를 통해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신청을 통해 지원대상으로 선정되면, 월 최대 20만 원씩 최장 12개월 또는 10개월 동안 월세를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은 복지로 누리집·앱 또는 주소지의 시·군·구청이나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방문 신청할 수 있습니다.
복지로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본인이 지원사업으로 월세를 지원받을 수 있는지, 그리고 지원 받는다면 얼마까지 받을 수 있는지를 월세 지원 모의 계산기로 손쉽게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본인이 지원 대상에 해당이 안 된다면? 월세대출상품도 복지로에서 정보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