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하기 위해 자신들만의 용어, 은어를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신입사원 때는 이러한 직장인 용어들을 못 알아들어도 괜히 물어보기도 난감할뿐더러 틀리게 말하면 창피할까 봐 눈치껏, 적당히 알아듣는 척 넘어가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 회의 때 말한 안건은 신입사원이 팔로업하고 아삽으로 알앤알 정리해서 뿌리도록 하세요. 필요하면 다른 팀도 인벌브 돼야 하니까 랩업할 때 나온 사안은 따로 정리하는 것 잊지 마세요' 지금 이야기가 이해가 되지 않는다면, 오늘 포스팅 주제인 첫 출근 전 꼭 알아둬야 할 직장인 용어 총정리 내용을 유심히 봐주시길 바랍니다.
첫 출근 전 알아둬야 하는 직장인 용어들
ASAP(As Soon As Possible)
- ASAP는 보통 [아삽]이라 부른다.
- 뜻 : 최대한 빨리
- 보통 메일에 요청기한을 적을 때 날짜 대신 ASAP라고 적으면 최대한 빨리 달라는 뜻입니다.
BP(Best Practice)
- 뜻 : 우수사례, 모범사례
- 예시 : 오늘은 업무혁신 BP를 발굴하고 공유하는 자리입니다.
CC(Carbon Copy)
- 메일함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용어
- 뜻 : 참조(먹지에 대고 쓴 복사본이란 뜻)
- 예시 : 메일 보낼 때 팀장님은 CC로 넣어주고, 나는 BCC(Blind CC, 숨은 참조)에 넣어주세요.
CS(Customer Service / Customer Satisfaction)
- 뜻 : 고객 서비스, 고객 만족, 고객 응대 업무
- 예시 : 중요한 내용이니까 이런 것은 CS에도 공유해 주세요.
F/U(Follow-up)
- F/U는 '팔로업'이라고 읽습니다.
- 뜻 : 후속조치, 지속적으로 챙기다
- 예시 : 이 업무는 누가 팔로업(F/U) 하고 있는 거야?
FYI(For Your Information)
- 뜻 : 참고바람
- FYR(For Your Reference)도 '참고바람'으로 같은 의미.
- FYA(For Your Action) : '네가 할 일이야'라는 뜻.
- 보통 메일 본문에 FYI만 적은 후 발송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 뜻 : 기업이 목표 달성을 위해 관리하는 핵심 성과지표
- 예시 : 올해 공유한 KPI 달성을 위해 모두 노력해 주시길 바랍니다.
OT(Over Time)
- 뜻 : 초과근무
- 예시 : 오늘은 오티(OT) 없으니까 모두 일과시간에 일 마무리하고 정시에 퇴근하세요.
PM(Project Manager)
- 뜻 : 프로젝트 매니저, 프로젝트 장
- 예시 : 이번 프로젝트는 김 팀장이 PM을 맡게 됐습니다. 모두 바쁘시겠지만 PM 지시에 잘 따라주길 바랍니다.
R&R(Roles & Responsibilities)
- R&R은 많이 쓰이는 직장 용어 중 하나로, '알앤알'이라고 말합니다.
- 뜻 : 역할과 책임, 업무분장
- 예시 : 저 팀은 맡은 일은 안 하면서 R&R만 따지는 게 못 마땅해.
SI(System Integration)
- 뜻 : 시스템 구축, 시스템 통합
- 보통 프로젝트별로 개발업체에 비용을 지불해서 개발하는 것을 의미.
- 예시 : 기존 시스템 개선은 어렵고 SI 개발로 진행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SM(System Management)
- SI의 반대 의미
- 뜻 : 시스템 운영, 유지보수, 추가 개발
- 예시 : SM 담당자가 확인한 후 오늘 내로 고쳐 준다고 연락 받았습니다.
SOP(Standard Operation Procedures)
- 뜻 : 표준 운영절차, 표준업무절차
- 예시 : SOP가 없는 돌발상황에서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요?
T/O(Table of Organization)
- 조직 구성표라는 뜻으로 보통 조직 구성표 상에 빈자리가 있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 뜻 : 티오(T/O)가 나면 가장 먼저 연락드리겠습니다. / 그 팀에 아직 티오가 있나요?
TBD(To Be Determined)
- 아직 결정되지 않은 '미정'이라는 뜻으로, 추후 결정이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습니다.
- 예시 : 회의록에는 TBD로 기입하고 다시 논의하는 것으로 하겠습니다.
TF(Task Force)
- 프로젝트성 업무를 위해 각 조직에서 사람을 골라 모아서 임시 편성된 특수임무 조직을 말합니다.
- 예시 : 내일부터 김 팀장은 TF로 발령되었습니다. 김 팀장 업무는 다른 사람이 분장해 맡도록 하세요.
VoC(Voice of Customer)
- '고객의 소리'라는 뜻으로, 보통 불만사항을 의미합니다.
- 예시 : 우리 팀은 브이오씨(VoC)에 특히 민감하니까 이 점 유의하는 게 좋을 거야.
VoE(Voice of Employee)
- '직원의 소리'라는 뜻으로, 주체는 다르지만 VoC와 마찬가지로 불만사항을 의미합니다.
- 예시 : 우리 회사는 다른 회사와 비교해 VoE를 잘 들어주는 편이야.
w/(with ~)
- 보통 협업부서를 회의록 등에 표기할 때 'w/'라고 씁니다.
- 예시 : 'w/회계팀'
Accept
- '억셉트'라 말하고, 뜻은 '수용하다' '받아들이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 예시 : 회계팀에서 추가 요구사항까지도 억셉트 했습니다.
Agenda
- '아젠다' 또는 '어젠다'라고 말하고, 뜻은 회의 의제, 회의 안건, 회의 일정을 의미합니다.
- 예시 : 아젠다는 회의 전 참석자들에게 빠짐없이 공유해 주세요.
Align
- '얼라인'은 '어긋나 있는 걸 맞추다' '동일선상에 놓다'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 예시 : 목표를 얼라인 하고 세부 내용을 선정하는 것으로 하겠습니다.
Arrange
- '어레인지'는 '마련하다' '일을 처리하다' '일정을 잡다'라는 다양한 의미로 사용됩니다.
- 예시 : 오늘 오후에 팀 전체 인원이 모였을 때 KPI를 공유할 예정이니, 김대리는 회의 어레인지하고 팀원 모두에게 내용을 공지해 주세요.
As-is
- '애즈이즈'는 현재 상태를 뜻합니다. 보통 미래(지향점)를 뜻하는 To-Be와 함께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 예시 : 정리한 As-is와 To-be가 한눈에 들어오지 않는 것 같네요.
Assign
- 어사인(Assign)은 '일을 배정하다' '일을 맡기다'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 예시 : 이번 프로젝트는 김 과장이 어사인 됐어.
Back-Office
- 백오피스(Back-Office)는 일선 업무(Front-Office)를 지원하는 부서로, 보통 스탭부서로 부르기도 합니다.
- 예시 : 우리 팀이 백오피스라고 해도 아예 고객을 상대하지 않는 건 아닙니다.
Backup
- 백업(Backup)은 누군가의 업무 상 공백을 대신해 메워준다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 예시 : 이번 주는 김대리가 휴가 중인 것으로 알고 있는데, 김대리 업무는 누가 백업하고 있죠?
C-level
- C레벨 뜻 : CEO, CTO, CFO와 같은 경영진을 통징하는 말.
- 예시 : 이번 건은 C레벨까지 이미 보고가 완료된 내용이라서 불합리하지만 어쩔 수 없이 해야만 돼요.
Capa
- 캐파(Capa)는 Capacity를 의미하는데, 보통은 생산능력, 감당할 수 있는 용량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예시 : 이번 프로젝트도 김 과장이 해야 될 것 같은데, 지금 케파가 가능하겠어?
Catch-up
- 캐치업(Catch-up)은 따라잡다는 뜻으로, 실적이 좋지 않을 때 자주 사용하는 용어 중 하나입니다.
- 예시 : 이번 분기는 실적이 너무 안 좋은데, 다음 주까지 캐치업 방안을 작성해서 회의하도록 하죠.
Conference Call
- '컨퍼런스콜' 또는 '컨콜'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3인 이상 참석하는 전화 회의를 말합니다.
- 예시 : 이번 회의는 일정이 맞지 않아서 컨콜로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Confirm
- 컨펌(Confirm)은 상사의 확인이나 승인을 의미하는 것으로, 조직사회인 직장에서는 일을 진행할 때 상사의 승인이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 예시 : 회의록은 팀장님 컨펌 받고 보내드리는 것으로 하겠습니다.
Consensus
- 컨센서스(Consensus)는 여러 사람들과 의견을 일치시키는 것으로, 원활한 회의 진행을 위해 꼭 필요한 활동입니다.
- 예시 : 보고 전 반드시 팀원 간 컨센서스를 이루고 팀장님께 보고 바랍니다.
DeVelop
- 디벨럽(Develop)은 '한 번 더 발전시키다'라는 의미로, 보통은 상사가 보고 내용이 미흡하거나 부족할 때 보완을 지시하며 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예시 : 이번 보고 건은 내용에 부족한 것이 많은 것 같아. 조금 더 디벨럽 시켜보자.
Escalation
- 에스컬레이션(Escalation)은 '상고'라는 의미로, 상급자나 상급부서에 알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 예시 : 신입사원은 업무 중간중간에 팀장에게 에스컬레이션 해 주세요.
Feedback
- 피드백(Feedback) 뜻 : '어떤 사안에 대해서 다시 알려주다' '어떤 사안에 대해 의견을 주다'는 의미.
- 예시 : 어제 담당부서에 요청했는데, 이직 아무런 피드백을 받지 못했습니다.
Forwarding
- 포워딩(Forwarding) 뜻 : 전달하다
- 예시 : 어제 내가 보낸 메일 지워진 것 같아. 다시 포워딩 좀 해줘.
Fool proof
- 풀프루프(Fool proof)는 '바보 방지'라는 뜻으로, 실수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설계를 말합니다.
- 예시 : 이런 일은 기계가 아닌 사람이 하는 일이니 플프루프하게 만들어야 합니다.
Hard copy
- 하드카피(Hard copy) 뜻 : 출력물, 종이 인쇄물
- 예시 : 오늘 참석자는 10명입니다. 하드카피는 10부만 준비해 주세요.
Ideation
- '아이에이션' 또는 '아이데이션' 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아이디어를 내고, 구체화, 발전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 예시 : 회의 전 우리끼리 아이데이션 하고 있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Insight
- 인사이트(insight) 뜻 : 통찰력, 본질을 꿰뚫어 보다.
- 예시 : 이 번 보고는 아무나 생각해 낼 수 있는 인사이트가 아니야.
Involve
- 인벌브(involve) 뜻 : 참여하다, 관여하다
- 예시 : 이 번 프로젝트에 제가 꼭 인벌브 해야 하나요?
Kick-off
- 킥오프(Kick-off) 뜻 : 시작하다, 착수하다
- 예시 : 오늘은 프로젝트 킥오프 미팅이 있는 날이니까 모두 10시까지 회의실로 오세요.
Man/Month
- 맨먼스(Man/Month)는 '한 달에 투입되는 인력의 수'를 의미하며, 1MM은 한 달에 1명을 뜻합니다.
- 예시 : 보고서에 맨먼스를 어떻게 산정했길래 이런 결과가 도출된 거죠?
Migration
- 마이크레이션(Mogration)은 새로운 운영환경으로 옮겨가는 작업을 말합니다.
- 예시 : 기존에 사용하고 있었던 DB는 마이그레이션이 힘들다고 합니다.
Milestone
- 마일스톤(Milestone)은 개발 부서에서 많은 쓰는 용어로, 전체 프로젝트 진행에서 꼭 거쳐야 하는 중요한 지점들을 말합니다.
- 예시 : 1차 마일스톤에서는 이 기능까지만 완성하는 것으로 하겠습니다.
Performance
- 퍼포먼스(Performance) 뜻 : 실행, 성과
- 예시 : 조직 분위기가 좋아야 높은 퍼포먼스를 낼 수 있습니다.
Raw data
- 로데이터(Raw data)는 '날데이터'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가공/집계하기 전 데이터를 말합니다.
- 예시 : 이 그래프의 로데이터는 누구에게 받았나요?
Reference
- 레퍼런스(Reference) 뜻 : 어떤 대상을 참고한다는 의미.
- 예시 : 과거에 이런 서비스를 성공시켰던 레퍼런스가 있었나요?
Rough
- 러프(Rough)는 '대강'이라는 뜻으로, 기간이 오래 걸리는 업무나 확인이 필요한 내용에 대해 정확하지는 않겠지만 어느 정도 가늠이 가능한 정도의 정보가 필요할 때 주로 사용하는 말합니다.
- 예시 : 기획안은 우선 내일까지 러프하게 그려서 가져오는 것으로 하겠습니다.
Spot
- 스팟(Spot) 뜻 : 즉석의, 번뜩이는
- 예시 : 팀장님이 하루에도 몇 번씩 불러서 스팟성 업무를 주는 바람에 오티 해야 할 것 같습니다.
Stance
- 스탠스(Stance) 뜻 : 입장, 자세, 태도
- 예시 : 중요한 결정을 앞두고 스탠스가 명확하지 못하면 어떻게 하라는 거죠?
Wrap-up
- 랩업(Wrap-up) 뜻 : 정리, 끝맺음, 마무리
- 예시 : 회의 끝난 후 우리끼리만 잠깐 랩업하도록 하겠습니다.
나래비
- 나래비 뜻 : 줄 세우기
- 예시 : 이번 성과금은 영업 실적을 기준으로 나래비 세워서 등급별로 차등 지급될 예정입니다.
그 외
- 빠꼼 뜻 : 어떤 일이나 사정에 막힘없이 훤하다.
- 광팔다 뜻 : 남이 한 일을 내가 한 듯이 실제보다 부풀리다.
- 쇼부 뜻 : 승부를 보다, 결판을 내다.
- 마도구찌 : '창구'라는 의미로, '마도'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 겐또 뜻 : 예상, 가늠, 어림짐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