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와 이상, 미만과 초과는 모두 수량의 많고 적음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기준이 되는 수량을 포함할지 혹은 포함하지 않을 지에 따라 선택해 사용하게 됩니다. 오늘은 수량을 표현하는 이하와 이상, 미만과 초과가 어떻게 다르고, 예시에 따라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하 vs 이상 차이 비교
이상(以上)과 이하(以下)는 기준이 되는 일정한 수량을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이상(以上)은 기준이 되는 수량을 포함해 많음을 뜻하고, 이하(以下)는 일정 수량을 포함해 적음을 의미합니다. 즉 '100명 이하'라고 하면 100명을 포함해 0명부터 100명까지의 인원을 말하고, '100명 이상 500명 이하'는 100명을 포함해 100명부터 500명까지의 사람을 포함하는 표현입니다. 이상과 이하를 쓸 때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기준이 되는 수량을 포함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 이상(以上) : 기준이 되는 수량 또는 수를 포함해 많음.
- 이하(以下) : 기준이 되는 수량 또는 수를 포함해 적음.
초과 vs 미만 차이 비교
이상과 이하와 달리 초과(超過)와 미만(未滿)은 기준이 되는 일정한 수량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점이 가장 큰 차이입니다. 초과(超過)는 기준이 되는 일정 수량을 포함하지 않고 그것보다 많음을 뜻하고, 미만(未滿)은 기준이 되는 일정 수량을 포함하지 않고 그것보다 적음을 의미하는 개념입니다. 즉 '100명 미만'이라고 하면 0명부터 99명까지의 인원을, '100명 초과 500명 미만'은 101명부터 499명까지의 사람을 말합니다. 초과와 미만을 쓸 때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기준이 되는 수량을 포함하지 않는 데 있습니다.
- 초과(超過) : 기준이 되는 수량 또는 수를 포함하지 않고 그것보다 많음.
- 미만(未滿) : 기준이 되는 수량 또는 수를 포함하지 않고 그것보다 적음.
예시로 알아본 이하·이상·초과·미만 차이 비교
- 만 18세 이하 관람 불가 : 만 18세까지 해당 콘텐츠를 관람할 수 없으며, 만 19세 이상부터 관람 가능하다. 만 나이는 태어난 날을 기준으로 1살씩 늘어나는데, 태어난 해가 같더라도 생일이 지나야 한다. 출생 후 1년이 되면 1살이 된다. 현재 연도에서 출생연도를 뺀 것이 만 나이가 되는데, 생일이 지났으면 그대로 사용하고 생일이 지나지 않았으면 1살을 빼야 만 나이가 된다.
- 연속해서 5일을 초과하여 근무해서는 안된다 : 초과는 기준이 되는 수량 또는 수를 포함하지 않는 개념으로, 5일을 초과한다는 표현은 기준이 되는 5일을 포함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즉 연속해서 5일을 초과해 근무해서는 안된다는 규정은 연속해서 4일까지는 가능하다는 의미로 보는 것이 맞다.
- 9대를 초과할 수 없다 : 9대를 초과할 수 없다는 의미는 기준이 되는 수인 9대를 넘어설 수 없다는 것이기 때문에 1부터 9까지는 가능하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즉 1~9대까지는 가능하고, 10대를 넘어설 수 없다는 말과 같은 뜻이다.
- 4개 이상 넣지 마세요 : 이상은 기준이 되는 수량 또는 수를 포함하면서 그 위인 경우에 사용하는 표현이다. 때문에 4개 이상 넣지 말라는 표현은 3개까지만 넣으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 5% 범위 초과 : 초과는 그 수량이나 수가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면서 그 위인 경우를 말한다. 때문에 5% 범위 초과는 5%는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적절하다.
※ 이후 vs 이내
- '이후'는 기준이 되는 때를 포함하여 그보다 뒤를, '이내'는 일정한 범위나 한도의 안을 뜻한다.
- 9월 1일 이후 3일 이내 : 1일을 포함하여 사흘이라고 해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9월 1일, 9월 2일, 9월 3일을 말한다.
- 분야별 상위 50위권 이내 : 문장 맥락에 따라 해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언어 표현만 두고 보면 접사'-권'이 범위 또는 그 범위에 속하는 지역을 뜻하므로, 51위도 분야별 상위 50위권 이내에 포함될 수 있다.
- 차령이 6년 이내인 자동차 : 문장 맥락에 따라 해석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다만 관용적으로 6년 이내는 만 6년 이내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의미에서 사용된 용어라면 6년 ○개월까지를 의미한다고 보지는 않는다.
- 2022년도 이후 : 이후는 기준이 되는 때를 포함하여 그보다 뒤를 뜻하므로, 2022년도 이후는 2022년이 포함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
- 공고일 이후 : 법률 및 규정의 해석 등 소관 기관의 해석이 필요한 사안이긴 하지만, 보통 이후는 기준이 되는 때를 포함하여 그보다 뒤를 의미하기 때문에 사전적 의미로 해석하자면 공고일 이후는 공고일을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