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험

유병자보험 325 vs 333 vs 335 보험 차이 비교 | 보험 고지 의무 3가지

728x170

유병자보험은 나이가 많은 고령층이거나 고혈압, 당뇨 같은 만성질환을 앓고 있어서 일반 보험에 가입이 어려운 분들이 주로 가입하는 상품을 말합니다. 대표적으로 가입 조건 기준에 따라 325 보험, 333 보험, 335 보험 등으로 불립니다. 오늘은 이 세 가지 보험의 차이점과 올바른 가입 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병자-보험-325-333-335-보험-차이
325보험 vs 333보험 vs 335보험 차이

 

간편심사보험 가입 조건

 

  • 진찰이나 검사를 통해 입원, 수술, 추가 검사, 재검사의 의사 소견이 없어야 한다.

 

325 보험, 333 보험, 335 보험에서 맨 앞자리 숫자인 '3'이 모두 이 조건을 말하는 것입니다. 모두 3개월 이내에 해당 소견이 없다면, 보험 가입이 가능합니다. 진찰 또는 검사란 건강검진을 포함하며, 질병 의심 소견은 의사로부터 진단서 또는 소견서를 발급받은 경우를 말합니다.

 

 

  • 질병이나 상해사고로 인해 입원했거나 수술한 적이 없어야 한다.

 

325 보험은 2년 이내 입원 또는 수술을 한 적이 있는지 물어보고, 333 보험과 335 보험은 3년 이내 입원 또는 수술했는지를 확인하게 됩니다.

 

  • 특정 질병으로 진단받아 입원 또는 수술한 적이 없어야 한다.

 

325 보험에서의 질병은 암만 해당합니다. 5년 이내에 암으로 진단받았거나 입원 또는 수술을 한 적이 있는지 물어봅니다. 반면 333 보험과 335 보험에서의 질병은 암을 포함해서 뇌졸중, 심근경색, 간경화, 협심증, 심장판막도 해당합니다. 333 보험은 3년 이내, 335 보험은 5년 이내 이 질병으로 진단받아 입원 또는 수술을 한 적이 있는지 확인하게 됩니다. 3가지 질문을 통과하면 건강검진 없이 간편 심사 보험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유병자보험 가입 시 체크사항

 

  • 보험료 납부 방법

 

보험은 보장도 중요하지만, 이에 못지않게 유지도 중요합니다. 때문에 본인의 경제 상황에 맞게 보험을 끝까지 유지할 수 있도록 보험 선택 시 갱신형으로 할지, 혹은 비갱신형으로 할지 신중히 따져 고르는 것이 좋습니다. 갱신형 보험은 가입 시점에 보험료가 저렴한 대신, 보장기간 동안 보험료를 납입해야 하고 갱신시점마다 상승한 보험료를 납입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비갱신형 보험은 갱신형 보험보다는 높은 보험료를 납입하지만, 일정 납입기간이 끝나면 보장 기간 동안 납입을 하지 않아도 보험기간 동안 보장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일반보험 가입 여부 알아보기

 

병력이 있으면 당연히 일반보험에는 가입할 수 없고, 유병자보험에만 가입할 수 있다고 알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이건 반은 맞고, 반은 틀린 얘기일 수 있습니다. 병력이 있는 담보 외에는 일반 보험에 가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가입 전에 병력이 있는 부분만 유병자 담보로 준비하고, 나머지는 일반형으로 선택하면 모든 담보를 유병자로 선택하는 것보다 보험료를 더 낮출 수 있습니다. 유병자보험도 보장 범위와 보험료가 상품에 따라 제각각이기 때문에 전문가의 상담을 충분히 받은 후 나의 상황과 여건에 맞는 것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진단서 vs 소견서 차이

 

  • 진단서

 

진단서는 환자 건강 상태를 증명하기 위해 작성하는 서류를 말합니다. 회사나 보험회사 등에 제출하는 대부분의 서류는 진단서인 경우가 많습니다. 진단서는 용도에 따라 상해진단서, 사망진단서, 검안서, 증명서, 감정서 등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진단서에는 기본적으로 환자의 성명 및 주민등록번호, 병명, 질병분류코드 등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진단서 발급 비용은 환자가 부담합니다.

 

  • 소견서

 

소견서는 진료 의사가 다른 의사에게 환자의 상태를 알려줘서 진료에 참고할 수 있도록 작성한 서류를 말합니다. 보통 소견서 발급 비용은 진찰료 또는 입원료에 이미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무료인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보험회사에서 제출을 요구하는 소견서는 보험금 청구에 대한 증명 등의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실제 소견서라기보다는 일반 진단서에 가까운 것으로 이에 대한 비용은 환자가 부담해야 합니다.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