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체국 공무원은 대부분 국가직 공채로 채용합니다. 7급 공무원은 보통 전국 단위로 채용하고, 9급 공무원은 지역 단위로 채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주무관은 6급 이하 공무원을 대외적으로 부르는 직위 및 직급입니다. 6급이 되어 직위가 생기면 대부분 해당 직위로 부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체국 주무관 하는 일
우체국은 ① 우편물 접수 및 운송, 배달업무, 우체국 택배 및 국제특송 등의 우편 업무 ② 예금 입·출금, 송금, 체크카드, 우편환 및 우편대체업무 등의 예금 업무 ③ 저축성·보장성 보험 계약 및 보장, 보험금 지급 등의 보험 업무 등 크게 3가지 주요 업무를 담당합니다.
우체국 창구 업무는 우체국 임용 공무원이라면 누구든 하게 되는데, 우편물 접수 등의 대민 업무와 예금, 보험, VIP 관리 등 다양한 일을 하게 됩니다. 단순히 접수만 하는 것이 아니라 우편물이 도착하는 것까지 시스템 체크를 통해 관리하는 것도 일에 포함됩니다.
한 부서에 3년간 근무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돌아가면서 순환 근무를 합니다. 전체를 순차적으로 도는 것은 아니고 두 부서를 왔다 갔다 할 수도 있는데, 연속해서 3년 이상 근무하는 것은 제한하고 있습니다.
지원과에서는 직무 자격증을 권하기 때문에 공부하면서 일해야 하는 부분이 큽니다. 업무는 회계, 인사, 서무, 교육, 시설 등 전반적인 행정 업무입니다. 행사를 기획하거나 연도 계획 수립 방향을 제시하는 등 전체적인 업무도 관장하게 됩니다.
직무 자격증은 물류관리사, 유통관리사, 자체적인 인증 등이 있는데, 자체 인증은 3급부터 1급까지 점차 따나가는 방식입니다. 인증은 과목이 많아 따기가 쉽지 않은데, 우편업무 전반적인 것에 대한 시험으로, 인사 상 혜택도 주어집니다. 단, 내부에서만 인정되는 가장 기본적인 자격증으로 여겨집니다.
우체국 주무관 기본 월급
우체국 주무관은 국가직 공무원으로 기본 월급은 '일반직 우정직군 공무원의 봉급표'를 기준으로 지급됩니다. 우체국을 비롯해 행정부 일반직 공무원 중 주무관은 9급부터 6급까지를 말합니다.
호봉 | 우정 6급 | 우정 7급 | 우정 8급 | 우정 9급 |
1 | 2,115,800 | 1,898,700 | 1,692,800 | 1,659,500 |
2 | 2,214,200 | 1,985,300 | 1,775,100 | 1,682,300 |
3 | 2,315,800 | 2,077,000 | 1,861,800 | 1,720,400 |
4 | 2,419,500 | 2,173,400 | 1,950,300 | 1,773,600 |
5 | 2,526,400 | 2,273,200 | 2,042,300 | 1,842,100 |
6 | 2,636,200 | 2,375,400 | 2,136,600 | 1,928,200 |
7 | 2,746,300 | 2,478,300 | 2,231,200 | 2,013,800 |
8 | 2,856,700 | 2,581,900 | 2,322,100 | 2,096,400 |
9 | 2,967,500 | 2,680,400 | 2,408,800 | 2,175,400 |
10 | 3,071,400 | 2,774,400 | 2,490,800 | 2,251,400 |
11 | 3,170,000 | 2,863,100 | 2,570,300 | 2,324,000 |
12 | 3,267,100 | 2,950,300 | 2,647,900 | 2,396,100 |
13 | 3,358,400 | 3,033,000 | 2,722,500 | 2,465,200 |
14 | 3,444,600 | 3,112,100 | 2,793,700 | 2,532,400 |
15 | 3,527,500 | 3,187,600 | 2,862,200 | 2,596,400 |
16 | 3,605,100 | 3,259,100 | 2,928,300 | 2,658,500 |
17 | 3,679,100 | 3,327,700 | 2,990,000 | 2,719,100 |
18 | 3,749,100 | 3,393,300 | 3,049,900 | 2,775,500 |
19 | 3,815,600 | 3,455,100 | 3,107,300 | 2,831,100 |
20 | 3,878,100 | 3,513,900 | 3,162,100 | 2,884,100 |
21 | 3,938,200 | 3,570,100 | 3,214,400 | 2,934,100 |
22 | 3,994,800 | 3,623,100 | 3,264,600 | 2,982,000 |
23 | 4,047,900 | 3,674,400 | 3,312,400 | 3,027,700 |
24 | 4,098,400 | 3,723,000 | 3,358,600 | 3,071,500 |
25 | 4,146,600 | 3,769,100 | 3,402,300 | 3,113,400 |
26 | 4,192,000 | 3,813,400 | 3,444,800 | 3,151,300 |
27 | 4,235,100 | 3,850,700 | 3,480,200 | 3,183,800 |
28 | 4,271,300 | 3,885,500 | 3,514,200 | 3,215,200 |
29 | 4,305,200 | 3,919,200 | 3,546,500 | 3,245,400 |
30 | 4,338,600 | 3,951,300 | 3,577,700 | 3,274,800 |
31 | 4,369,600 | 3,981,500 | 3,608,000 | 3,303,700 |
32 | 4,398,900 |
2021년 일반직 공무원 초과근무수당
2021년 기준 시간 외 근무수당은 9급의 경우 시간당 약 8,886원이고, 8급은 9,831원, 7급은 10,950원, 6급은 12,122원입니다. 휴일 일당은 9급이 71,429원을 수령하고, 8급은 79,022원, 7급과 6급은 휴일 일당으로 각각 88,021원과 97,442원을 받게 됩니다.
야간 수당은 시간당으로 지급합니다. 9급은 야간 수당으로 시간당 2,962원을, 8급은 3,277원을, 7급은 3,650원, 6급은 4,041원을 지급합니다.
계급 / 직무등급 | 시간외(시간당) | 야간(시간당) | 휴일(일당) |
6급 / 4등급 | 12,122 | 4,041 | 97,422 |
7급 / 3등급 | 10,950 | 3,650 | 88,021 |
8급 / 2등급 | 9,831 | 3,277 | 79,022 |
9급 / 1등급 | 8,886 | 2,962 | 71,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