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생리 옮나요 생리주기 옮길 수 있을까? 생리에 관한 진실 알아보기

생리 옮나요

 

생리 옮나요? 라는 질문은 다소 엉뚱해 보일 수 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친한 친구나 주위에서 생리를 하는 경우 자신도 생리가 옮는 것처럼 함께 생리를 하는 경험을 종종 하곤 한다.

 

생리-옮나요-주기-진실-바로알기

 

5월 28일은 세계 월경의 날로, 이는 여성이 보통 5일간 28일 주기로 생리를 한다는 의미로 지정됐다. 여성들은 직접 한달에 한번씩 생리를 겪곤 있지만, 생리에 대해 자세히 알려고 하기보단 경험적, 또는 주위에서 듣는 이야기에 더 귀를 기울이는 경우가 많아 혼란을 겪는 경우가 적지 않다.

 

 

생리 옮나요?

 

생리는 자궁내막이 떨어져 나오는 과정으로 뇌와 생식기관 사이에 정교한 신호전달 체계에 의해 조절된다.

 

사실 의학적으로 볼 때 생리가 다른사람으로 부터 전염되거나 옮는다는 말 자체는 근거가 없는 이야기 일 수 있다. 하지만, 심리적 동기화로 생리가 옮는다고 느낄 수 있는데, 이러한 연구가 진행되기도 했다.

 

생리-자궁내막-떨어져-나오는-과정

 

생리 동기화설 또는 심리적 동기화란 생리 중인 여성의 페로몬이나 특유의 체취가 같이 지내는 다른 여성의 생리 주기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이다. 동기화란 어떤 행동의 방향과 강도를 정해주는 심리적 요인으로, 어떠한 특정 행동을 다른 사람과 함께 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대다수의 전문가는 생리 주기가 비슷해지는 현상의 인과관계를 증명할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며, 이는 우연의 일치나 심리적 영향에 의해 나타나는 잘못된 믿음이라 보는 시각이 더 많다.

 


 

영국 옥스퍼드 대학 연구팀이 가까이 생활하는 여성 360쌍의 생리 주기를 관찰한 결과 그 중 약 273쌍은 관찰 후반으로 갈수록 오히려 생리 주기의 격차가 더 벌어졌다. 그 중 100쌍은 같은 집에 살거나 자주 만나는 등 유대관계가 깊고 생활반경도 가까웠지만 생리주기가 같아지지 않았다.

 

생리-생리기간-비교-이미지

 

사실 여성이 생리를 하는 기간은 한달 중 짧게는 3~5일, 길게는 일주일 정도로 결코 짧지 않다. 때문에 여자 5명이 모이면 확률적으로 그중 한 명은 생리 중일 가능성이 높은데,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현재 생리 중인 여성도 통계상 늘어나기 마련이며, 자연스럽게 함께 있는 여성들 중에서 생리일이 겹칠 수 있는 확률도 높아진다.

 

유대감도 생리 동기화설을 믿는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유대감은 서로 공통점이 있을 때 더 끈끈해지기 마련인데, 친한 사람 간에는 공통점을 찾는 경우가 더 많고, 같은 시기에 생리를 한다는 유대감은 '생리가 옮는다'라는 질문에 믿음을 가지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생리에 관한 잘못된 상식 ① 진통제를 먹으면 내성이 생긴다?

 

생리통이 심한 경우 진통제를 복용하면 증상을 완화할 수 있지만, 간혹 진통제를 먹어 내성이 강해지면 아무리 약을 먹어도 통증을 가라앉힐 수 없게 되지는 않을까 라는 불안감 때문에 약을 기피하는 경우가 있다.

 

생리-진통제-내성-팩트체크

 

그러나 이는 생리에 대한 잘못된 오해 중 하나다. 생리통 완화를 위해 먹는 진통제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로, 비마약성 진통제에 속하기 때문에 보통 내성이 생기지 않는다. 때문에 생리통이 심할 때는 의사의 처방에 따라 증상에 맞는 진통제를 복용하는 것이 좋다.

 

 

생리에 관한 잘못된 상식 ② 진통제를 먹으면 생리주기나 생리양이 바뀐다?

 

생리통 완화를 위해 진통제를 먹는다고 해서 생리 주기나 생리양이 바뀌는 것은 아니다. 또한 진통제를 필요한 시기에 에 올바른 방법으로 적정량 복용한다면 자궁에 나쁜 영향을 끼치거나 나중에 임신 시 아기에게 안 좋은 영향이 미치는 일도 없다.

 

하지만 생리통 완화를 위해 피임제나 호르몬제를 복용하는 경우 생리 주기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경우에는 반드시 산부인과 전문의와 충분한 상담 후 복용하는 것이 좋다.

 

알약-복용-주의사항-이미지

 

생리통 증상은 보통 하복부의 골반뼈 바로 위 부위에서 쥐어짜는 느낌의 통증이 느껴진다. 생리를 하기 몇 시간 전 또는 직후부터 발생하며 약 2~3일간 지속된 후 증상은 사라진다.

 

생리통 약은 생리가 시작되기 전에 미리 복용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인데, 생리가 시작되기 전부터 두통이나 요통, 다리 저림, 복통, 부종 등의 통증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생리통으로 고생한다면 웅크려 자는게 도움이 된다. 웅크린 자세는 배 근육을 풀어줘 생리통을 잦아들게 하는 효과가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