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야심경 뜻
반야심경의 우리말 한글 뜻부터 한글 반야심경 원문과 해석까지, 누구나 반야심경의 전반적인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한자 원문과 한글로 된 한자음, 그리고 한글로 번역된 반야심경 해석본이 순서대로 제공됩니다.
한글반야심경 원문과 해석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은 모든 것을 초월하는 지혜로 피안에 도달하는 가장 핵심 되는 부처님의 말씀이란 뜻입니다. 여기서 '마하'는 크다, 많다, 초월하다는 뜻이고, '반야'는 지혜와 깨달음을 나타내며, '바라밀다'는 저 언덕에 도달한다는 뜻이고, '심경'은 부처님의 중요한 말씀이란 의미입니다.
피안(彼岸)이란 '저쪽 언덕'이라는 뜻으로, 저쪽은 열반의 세계, 부처의 세계, 깨달음의 세계, 해탈의 세계, 평온한 세계를 말합니다. 반대로 차안(此岸)은 '이쪽 언덕'이라는 뜻으로 미혹의 세계, 중생의 세계, 번뇌의 세계, 불안한 세계, 괴로움으로 가득 찬 세계를 말합니다. 피안이란 도피안(到彼岸)이라고도 하는데, 모든 번뇌에 얽매인 고통의 생사고해를 건너서 이상향인 열반의 저 언덕을 뜻합니다.
관자재보살 행 심반야바라밀다시
관자재보살(관세음보살)이 반야바라밀다를 깊이 수행할 때에,
(삼계, 사생, 육도의 고통받는 중생을 구제하기 위해) 인간을 비롯한 모든 존재를 이루고 있는 다섯 가지 구성요소인 물질적 형상과 느낌, 생각, 의지, 인식작용은 모두 실체가 없이 텅 빈 것임을 훤히 비추어 보시고,
모든 괴로움과 불행에서 벗어나셨다.
(잘 들어보라) 사리자여,
물질적 형상으로 나타나 우리 눈에 보이는 세계는 실제로는 공허하고 눈에 보이지 않는 텅 빈 본질세계와 다르지 않고,
본질세계 또한 눈에 보이는 물질적 형상의 세계와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으니,
물질적 형상의 세계가 곧 텅 빈 본질 세계이고,
본질세계가 곧 눈에 보이는 물질적 형상의 세계이다.
수(감각작용, 느낌), 상(지각작용, 생각), 행(의지), 식(인식)으로 이루어져 있는 마음의 활동도,
역시 물질적 형상처럼 고정된 실체가 없이 공허하고 텅 빈 것이다.
사리자여,
이와 같이 모든 것은 본질적으로는 실체가 없고 공허한 모습을 갖고 있으니,
생겨나는 것도 없고 없어지는 것도 없으며,
더러운 것도 없는가 하면 깨끗한 것도 없고,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것도 없다.
(그러므로, 사리자여) 이 현상계의 본질의 차원인 텅 빈 공의 세계에서는 모양 있는 것(물질적 형상)도 없고,
감각작용과 지각작용, 그리고 의지적 충동과 인식작용으로부터 이루어지는 마음도 없다.
(이 공의 세계에서는) 또한 눈과 귀와 코와 혀, 그리고 몸(촉감을 느끼는 곳)으로부터 오는 감각은 물론이고 생각이 일어나는 의식조차도 없다.
또한 눈에 보이는 색이나 형상, 소리, 냄새, 맛, 그리고 몸으로 느끼는 촉감과 같은 감각이나 사물의 본성이나 현상, 법도 등 의식으로 분별할 대상도 없고,
무안계 내지 무의식계
눈으로 보고 그 눈으로 보여지는 것으로 만들어지는 세계도 없고 생각으로 이루어진 의식의 세계도 없다. 이는 시각적인 경험부터 의식적인 경험까지의 모든 영역이 없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무무명 역무무명진
(이 공의 세계에서는) 어리석은 착각으로 가려진 어둠도 없고, 그 어둠이 끝나는 것도 없으며,
내지 무노사 역무노사진
늙고 죽는 것도 없고, 늙음과 죽음의 끝도 없다.
(이 공한 세계에서는) 괴로움도 없고, 괴로움의 원인인 집착도 없고, 그 괴로움이 사라지는 길 모두 존재하지 않으니,
(이 공의 세계에서는 그 고통의 소멸에 이르는) 깨달음을 얻기 위한 지혜도 없고, 깨닫음을 얻을 것도 없다.
(그러므로 이 공의 세계에서는) 아무것도 얻을 것이 없기 때문에,
보리살타 의 반야바라밀다 고
(그러므로 사리자여) 보리살타는 반야바라밀다에 따라,
심무가애 무가애고 무유공포
마음에 걸림이 없고, 걸림이 없으니 두려울 것도 없으니,
원리전도몽상 구경열반
뒤죽박죽인 헛된 생각이나 망상으로부터 멀리 벗어나 완전한 열반에 이르게 된다. 열반이란 탐욕, 성냄, 어리석음 및 모든 고통이 영원히 사라진 경지로, 궁극적 깨달음을 완성함으로써 도달한, 죽음까지 포함하는 일체의 고뇌를 이긴 절대적 행복의 경지를 말합니다.
삼세제불 의 반야바라밀다
과거, 현재, 미래 삼제의 모든 부처님도 저 열반의 언덕으로 가는 지혜인 반야바라밀다에 따라,
고득 아뇩다라삼먁삼보리
최상의 깨달음인 아뇩다라 삼먁 삼보리(완전한 깨달음)를 얻으셨으니,
고지 반야바라밀다
그러므로 반야바라밀다를 잘 알아야 한다.
이것은 가장 큰 신비로운 말씀(주문)이며,
큰 밝은 주문이자,
가장 큰 최상, 최고의 주문(말씀)이다.
이와 비교하여 견줄만한 주문도 없다.
능제일체고 진실불허
이 반야바라밀다의 주문(말씀)은 모든 괴로움과 고통을 없애주는 진실하고 거짓 없는 주문이다.
고설 반야바라밀다주 즉설주왈
그러므로 부처님께서 이 반야바라밀다의 주문을 일러 말씀하셨다.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가자, 가자, 고통에서 벗어나 우리 함께 피안으로 가자. 부처님 세계(피안)에 도달하였네.
여기서 '아제'는 괴로움에서 해탈로, 혼란스러움에서 고요한 명상으로 나아간 것을 의미하고, '바라아제'는 아주 먼 저곳 끝, 부처님 세계까지 가버린 것을 의미합니다. '바라승아제'는 완전히 저 먼 곳 피안의 세계에 이르게 된 상태를 말합니다.
아! 깨달음이여 영원하라.
여기서 '모지'는 깨달음을 뜻하고, '사바하'는 기쁨과 행복에서 나오는 소리로, 반야심경의 마지막 구절인 菩提 娑婆訶 (모지 사바하)는 공(空)을 이해하고 깨달은 기쁨을 외마디 탄성으로 표현한 진언이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