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마구니 뜻/의미, 비슷한 용어로는 마라/마군/마왕

728x170

마구니

 

마구니는 2000년부터 2002년까지 방영된 대하드라마 '태조왕건'에서 궁예가 자주 언급하면서 인기를 모은 대사 중 하나로, 여전히 회자 되며 임팩트 있게 예능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마구니-뜻-의미-바로알기

 

'사딸라' 짤로 유명한 김영철은 당시 궁예를 연기하며 연기 대상까지 거머쥐는 등 일약 스타덤에 올랐는데, 애초 80부까지의 계약이 연장 돼 200부 중 120부에 출연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마구니 뜻/의미

 

드라마 '태조왕건'에서 관심법을 사용할 수 있다고 공언하던 궁예는 자신의 정적(정치에서 대립되는 처지에 있는 사람) 또는 자신의 뜻과 맞지 않는 자가 있으면 마구니가 가득하다는 이유로 그 사람을 처단하는데 사용하는데 '마구니'를 이용하는 등 임팩트 있는 모습을 보여 큰 인기를 모은 바 있습니다.

 


 

마구니(魔仇尼, Maguni)는 불교 용어 중 하나로, 마(魔)라 또는 마군(魔軍), 마왕(魔王)이라고도 합니다.

 

마구니 뜻은 어떤 형상을 가지고 있는 귀신이나 도깨비가 아니라 우리들 마음속에서 일어나는 온갖 번뇌를 말합니다.

 

마구니-뜻-마음속-온갖-번뇌

 

마(魔)는 빠알리어와 산스끄리뜨 마라(Ma-ra)의 역어입니다. 역어는 번역할 때 쓰는 말을 의미합니다.

 

마라가 거느리고 있는 군대를 마라세나(Ma-ra-sena)라고 하는데, 이를 마군(魔軍)으로 한역(한문으로 번역)하여 부릅니다.

 

 

마구니를 뜻하는 마(魔)라는 초기 경전에서 빠삐만(사악한 자)이나 나무찌(해탈을 방해하는 자)로 불리는데, 사악함의 화신이며 해탈/열반을 방해하는 훼방꾼의 상징으로 나타납니다.

 

해탈(解脫)/열반(涅槃)이란? 모든 번뇌의 얽매임에서 벗어나고, 진리를 깨달아 불생불멸의 법을 체득한 경지를 말하는 것으로, 불교의 궁극적인 실천 목적입니다.

 

빠삐만-사악한-사람-의미-뜻
해탈-열반-뜻-모든-번뇌-얽매임-벗어남

 

마라는 초기 경전에서부터 다양한 문맥에서 아주 많이 등장하는데, 전통적으로 주석서들은 경전에 보이는 다양한 마라들을 오염원(kilesa. 번뇌. 染)으로서의 마라/무더기(蘊. khandha)로서의 마라/업형성력(abhisankhara)으로서의 마라/신(devaputta)으로서의 마라/죽음(maccu)’으로서의 마라 등으로 나눕니다.

 

 

마구니를 뜻하는 마라는 인도 힌두문헌에는 카마데바로 나타납니다.

 

카마데바는 로마 신화의 사랑의 신인 큐피드와 비교할 수 있는데 꽃 화살을 가지고 다니며, 이 꽃 화살에 맞게 되면 사랑에 빠지게 되고, 사랑의 열병을 앓는다고 합니다.

 

카마데바-카마-뜻-의미-바로알기

 

마라는 바로 유혹자(Tempter)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성을 서로 꼬드기게 하고, 세속적인 것에 집착하게 함은 물론 연연하게 해 그런 것에 묶어두게 하려는 유혹을 통틀어 마라로 칭할 수 있습니다.

 

 

마음을 챙기지 못하면 그것은 마라의 유혹에 빠진 것이요, 마음 챙김을 오롯이 하면 마라의 영역을 극복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어떤-갈등도-없는-마음의-평화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