릎으로 시작하는 단어
끝말잇기는 두 명 이상의 사람이 일정한 순서를 정하고, 돌아가면서 자신의 바로 전 차례의 사람이 제시한 낱말의 마지막 글자로 시작하는 낱말을 말하는 형식의 말놀이이다.
끝말잇기 고수가 되려면 일단 한방단어를 섭렵하고 중요 단어들을 상당수 암기하고 있어야 한다. 다음으로 중요한 것은 방어단어 암기다. 상대가 한방단어를 제시하면 그에 맞게 나도 방어태세를 갖추고 있어야 진정한 끝말잇기 고수 반열에 올라설 수 있다.
릎으로 시작하는 단어
릎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사전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만큼 한방단어로 널리 알려져 있다. 때문에 상대는 릎으로 끝나는 단어를 늘 한방단어로 암기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릎으로 끝나는 단어로는 무릎, 드릎, 베릎 등이 있다.
무릎은 신체부위 중 하나고, 드릎은 두릅의 강원도 사투리다. 베릎은 볏의 경남 방언으로 현재는 거의 사용하지 않지만, 사전에 등재되어 있는 단어이다. 방언은 사용 지역 또는 사회 계층에 따라 분화된 말의 체계로 사투리와 같은 말이며, 지방에 따라 같은 사물이라도 부르는 이름이 다를 수 있다.
릎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한국 사전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릎으로 끝나는 단어(무릎, 드릎, 베릎)로 공격을 받았다면 두가지로 방어가 가능하다.
지역별로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끝말잇기는 두음법칙을 허용한다. 한자음 '르'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때에는 '느'로 적을 수 있는데, 릎과 릇으로 시작하는 한자음이라면 늪과 늣으로 바꿔 적을 수 있다. 단, 한글 맞춤법에 명시돼 있는 두음 법칙은 한자의 음에 적용되는 규칙으로 무릎은 순우리말이므로, 두음 법칙을 적용할 대상이 안된다.
릎으로 끝나는 단어로 공격 받았다면 릎으로 시작하는 단어를 말하는 것이 가장 깔끔한 방어법이다. 릎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릎플릎플이 대표적이다.
릎플릎플은 한글이 아닌 브라질 원시부족 단어로 거의 아는 이가 없다. 브라질 현지에서도 거의 사용하지 않는 단어이지만, 존재하는 단어이기 때문에 끝말잇기에서 사용한다고 룰을 어기는 것은 아니다. 릎플릎플은 너를 좋아한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릎플릎플은 사전에 등재된 단어가 아니기에 끝말잇기 룰을 엄격히 적용한다면 허용되는 단어는 아니다. 때문에 릎으로 끝나는 단어가 나왔다면 두음법칙을 이용해 방어하는 것이 가장 좋다. 두음법칙을 이용한다면 최고의 단어는 늪사슴과 늪기슭이다.
늪사슴은 아메리카 늪사슴이라고도 하며, 남아메리카에서 가장 큰 사슴이다. 한국어 사전에도 등재되어 있는만큼 릎으로 끝나는 단어를 방어하는데 최고의 한방 단어로 꼽힌다. 늪기슭은 늪의 물기슭이다.
끝말잇기 규칙
끝말잇기를 할때는 게임을 시작하기에 앞서 기본적인 규칙을 정해야 한다. 게임 도중 발생할 수 있는 불상사를 막기위해서 인데, 끝말잇기는 지역별로 모임별로도 각자 규칙이 다르다.
끝말잇기는 원칙적으로 표준어 내의 명사만 사용해야 한다. 동사나 목적어 및 구절 등을 허용할 경우, 게임이 루즈해 지고 끝내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띄어쓰기, 지명, 인명, 외래어, 옛말, 두음법칙, 전문용어, 분자 및 원소명을 허용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표준국어대사전에 있는 단어만 인정하는 경우도 있다.
보통 끝말잇기 단어는 명사로 하되, 표준국어대사전과 네이버 등 포털에서 쉽게 검색이 가능해야 한다는 규칙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한 글자 단어는 사용하지 못하며, 한 판에 같은 단어를 두 번 이상 사용할 수 없다. 두음법칙은 허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허용 시 사용할 수 있는 단어가 늘어나는 만큼 장단점이 존재한다. 두음법칙을 허용할때는 두음법칙에 대한 정확한 사용규칙을 알고 있어야 한다.
한자음 '류'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때에는 '유'로 적는다. '륨, 늄'으로 시작하는 한자음이라면 '윰'으로 바꿔 적을 수 있으며, '랒'으로 시작하는 한자음이라면 '낮'으로 바꿔 적는다.
두음 법칙은 특정 한자음이 단어의 첫머리에 오지 않는 것을 정리한 것이며, 고유어나 외래어에서는 이러한 부분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두음 법칙에는 ㄴ 두음 법칙과 ㄹ 두음 법칙이 있는데, 엄밀히 말해 두음법칙은 서로 다른 이들 두가지 현상을 하나로 묶은 것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