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동대문 도매시장 사입 용어 A to Z

728x170

쇼핑몰 운영을 고민하고 있다면, 동매문 도매시장 등에서 사용하는 사입 용어 숙지는 필수다. 일반 쇼핑몰들은 동대문 도매시장에서 옷을 떼와 마진을 붙여 파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때문에 기본적인 동대문 도매시장 용어만 알고 있어도 보다 합리적인 가격에 좋은 품질의 옷을 겟하는 게 가능하다.

 

동매문-도매시장-사입-용어-숙지는-선택이-아닌-필수
도매시장 용어 모르면 호갱님 되기 십상이다

 

동대문 도매시장 사입 용어

 

사입이란?
■ 현장에서 돈을 주고 물건, 상품을 사는 것. 돈을 일시불로 다 지불하면 사입이라고 한다.
■ 사입으로 물건을 구매하는 경우 판매하는 쪽에서는 현금이 바로 들어오고, 재고부담이 없기 때문에 보다 저렴한 가격에 공급이 가능하다. 사입을 하는 쪽에서는 보다 저렴한 가격에 물건을 살 수 있어 이득은 크지만, 물건이 잘 팔리지 않을 경우 재고부담을 떠맡게 되어 최악의 경우 자멸할 수도 있다.
■ 도매시장의 성격상 일반 소비자들에게는 물건을 내어주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이는 동대문 도매시장의 암묵적인 규칙이자 상도로 알려져 있다.

 

 

사입가 뜻
■ 사입가는 곧 도매가격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도매는 공급 가격(공장도 가격)의 50%를 마진으로 판매.
■ 도매업자나 판매업자는 최소 40%를 마진으로 유지하려고 한다.
■ 예시 : 원가(공장도가) 1만 원 / 도매가(사입 가격) 1만 5천 원 / 판매 가격(소비자가) 3만 원
장끼
■ 장부에 기장(기록하는 것) 한다는 뜻으로, 상품을 구입하면 받는 영수증 및 거래명세서를 말한다.
■ 일반 장끼 : 시장과 매장명, 연락처, 품목, 금액, 수량 등을 작성해 둔 장끼로, 추후 재주문 시 이를 통해 빠른 주문이 가능.
■ 미송 장끼 : 원하는 상품의 재고가 없을 때 미리 상품을 주문하고 선결제한 후 받는 장끼. 상품을 받기 전에 미리 결제한 경우이므로, 해당 장끼를 소지하고 있어야 나중에 상품 인수 시 문제가 없다.
■ 샘플 장끼 : 촬영 목적으로 샘플을 요청할 때 주고받는 장끼. 샘플로 가져간 물품과 반납 예정일을 기재.
■ 매입 장끼 : 구매 취소 또는 상품 교환이나 반품이 있을 때 매입 장끼를 전달해 현금처럼 사용.

 

 


■ 색깔 및 컬러를 뜻함.
■ 이거 깔이 어떻게 나와요? : 이 옷 색상이 몇 가지예요?
■ 이건 재고가 없어서 미송 잡아야 되고, 3깔로 나와요 : 상품의 재고가 없어 미리 예약한 후 선결제해야 되고, 컬러는 3가지예요.
고미
■ 깔 별 혹은 사이즈별 묶음. 제품 사이즈는 '단'이라 한다.
■ 동대문 도매시장에서는 낱장 구매가 안되기 때문에 깔 별 혹은 사이즈별로 옷을 사입해야 한다.
■ 깔 별로 주세요 : 이 상품 색상별로 하나씩 주세요.
■ 한고미 주세요 : 이 상품 사이즈별로 하나씩 살게요.
사입 삼촌
■ 도매시장에서 대신 제품을 픽업해 주는 전문 사입자.
■ 도매시장을 돌며 제품을 선택한 후 주문이 들어오면 사입 삼촌들이 주문 들어온 물건을 구입해 배송 담당.
■ 물건을 사입할 때 사입 삼촌이 대신 결제해주는 것을 '대납'이라 한다.

 

 

■ 다이마루 : 원단의 종류
■ 나오시 : 상품 불량
■ 시야게 : 제품 마지막 검품(주문한 상품이 발주한 대로 제작되었는지 확인하는 작업)
■ 큐큐 : 큰 단추 구멍.
■ 나나인찌(나나인치) : 작은 단추 구멍.
■ 대봉 / 중봉 / 소봉 : 봉투 크기
■ 파스 : 제품 생산 기간. 재료의 소진 기간.
■ 후레아 : 가장자리 주름 장식.
■ 이미 : 이미테이션. 가짜. 짜가. 짝퉁.
■ 시재 : 매장에서 가지고 있는 잔돈.
■ 아도 : 매장에 남아 있는 재고 수량을 전부 구입하는 것.
■ 완사입 : 구매~반품까지 모두 책임지고 사입하는 것.
■ 도매오빠 : 의류를 도매로 유통하는 온라인 쇼핑몰.
■ 삼촌 / 언니 / 이모 : 매장 사장님들을 부르는 호칭. 남자 사장님은 삼촌으로, 여자 사장님에게는 언니 혹은 이모라 부른다.

 

 

공급가 대비 판매 가격을 지수라 하는데, 옷의 지수는 일반적으로 3(공장도 가격에서 판매 가격이 3배)이며, 도매로 구입해서 판매하는 경우에는 지수를 2로 본다. 보통 도매가의 40%가 마진이고, 공장도 가격의 60%를 붙이면 도매가격이 된다. 1만 원이 공장도 가격이면 6천 원이 원가이고, 4천 원이 마진이며, 1만 원의 60%인 1만 6천 원이 도매가격이 되는 식이다.

 

판매가를-결정할-때-고려해야-하는-8가지
일반적인 판매가는 도매가의 3~4배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