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검정똥/검정변 건강 적신호!! 대변색으로 알아본 질환

검정똥/검정변

 

건강한 사람의 변은 황금색에 가깝습니다. 만약 변 색깔이 검정똥(검정변)이거나 흰색, 회색 등을 띈다면, 병원을 내원해 검진을 받아보는게 좋습니다.

 

검정똥-검정변-건강-확인-방법-안내

 

건강한 사람의 변이 황금색에 가까운 이유는 대변에는 영양분의 소화·흡수를 돕는 담즙(쓸개즙) 색소인 빌리루빈이 들어 있기 때문입니다. 건강한 간에서 분비된 빌리루빈은 노란색에서 갈색을 띕니다.

 

 

검정똥/검정변 건강 적신호?!

 

대변색은 섭취한 음식물에 따라서 일시적으로 달라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평소와 똑같이 음식물을 섭취했는데, 지속적으로 대변에 피가 섞여 있거나 검은색·흰색 등 대변 색깔이 특이하다면 몸에 질환이 있다는 신호일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됩니다.

 


 

검은똥(검은변)은 소화기관 출혈이 의심됩니다. 혈변과 달리 검은똥은 소화기관 위쪽에 있는 식도·위·십이지장에서 출혈이 생겼을 수 있습니다.

 

위에서 생긴 피가 내려오면서 위산 등과 닿아 검게 변하기 때문인데, 이로 인해 대변색까지 검은색, 검정변으로 변하게 됩니다.

 

검정똥-검정변-주요-원인
위산-기인-검정똥

 

특히 식사 여부와 상관없이 자주 속이 쓰리고 소화가 잘 안 되는 증상과 함께 검정똥/검정변을 자주 본다면 위염·소화성 궤양일 확률이 높습니다.

 

검정똥/검정변이 나타날 때 가장 안 좋은 케이스는 위암이 원인이 되어 변색깔이 변할때 입니다.

 

 

검정똥/검정변이 나온다고 모두 위암은 아닙니다. 위장관에 피가 나는 경우는 위궤양을 비롯해 식도정맥류, 위염, 위식도역류 등 다양합니다.

 

또한 과다한 육류 섭취나 철분 강장제 복용으로도 검은똥/검정변을 볼수 있습니다.

 

위장관-피-나는-질환-안내

 

대변색으로 알아본 질환

 

▣ 초록변/녹색변

 

초록변/녹색변은 채소를 많이 섭취했을때도 나타날 수 있지만, 초록빛의 담즙이 충분히 분해되지 않은 상태로 대장으로 내려가도 변색깔이 녹색을 띕니다.

 

 

설사가 심해 변이 대장을 통과하는 시간이 짧을 때 담즙이 미처 분해되지 못하고 그대로 배설돼 녹색을 띠는 경우가 많습니다.

 

식중독, 여행 중에 겪는 설사, 음식 알레르기, 염증성 장질환, 배변 완화제 사용 등이 소화기능 시간이 단축되게 하는 질환 입니다.

 

담즙-분해-이상-녹색변

 

▣ 흰색/회색변

 

변색깔이 흰색이나 회색 빛을 띈다면, 담즙이 대변에 제대로 섞이지 않은 게 원인일 수 있습니다.

 

간에서 분비된 담즙은 쓸개관을 통해 이동하는데, 쓸개관이 막히거나 좁아졌을 때 흰색 또는 회색변이 나올 수 있으며, 췌장염에 걸려 지방을 분해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경우에도 기름 성분이 소화되지 않아 변이 흰색에 가까워 집니다.

 

 

쓸개관이 막히거나 좁아져 흰색·회색 변이 나오는 원인질환으로는 면 담도(쓸개에 붙은 작은 관)폐쇄, 담낭염, 담석증 등이 있습니다.

 

담낭염은 담낭에 염증이 생겨 발생하는 질환으로 일반적으로 담낭관을 차단하는 담석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흰색-회색변-주요-원인

 

댓글